의협, 한의계 및 한방 옹호 국회의원 맹비난

의협, 한의계 및 한방 옹호 국회의원 맹비난

기사승인 2015-12-09 20:51:55
[쿠키뉴스=조민규 기자] 대한의사협회(회장 추무진)는 지난 4일 한의사협 주최로 열린 ‘한·중 감염병 질환 공동 대응방안 모색을 위한 세미나’에서 한의학을 감염병 대책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제안이 나온 데 대해 “국민 안전과 생명을 도외시한 위험한 발상이며, 의학영역을 침범하려는 도발”이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또 의협은 “메르스 확진환자에게 검증 안 된 한약 투여를 주장하는 행태는 국민의 생명을 볼모로 임상시험 하겠다는 것이나 다름없는 아주 위험한 생각이므로 지양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특히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국회의원 일부가 “한의사를 감염병 정책에 참여시키고, 현대의료기기 사용을 보건복지부 손목을 비틀어서라도 추진하겠다”고 발언한 데 대해 의협은 유감을 표명했다.

의협은 “모든 정책과 제도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근거와 비용효과분석 등이 선행돼야 한다는 기본원칙을 무시한 발언”이라며, “아무런 근거 없이 맹목적으로 제도를 추진할 경우 결국 그 피해는 국민들에게 돌아갈 것임을 절대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의학과 한의학은 학문의 기본적인 원리, 질병의 원인에 대한 접근 방법, 진단법, 치료방법이 상이하다”며 한방을 감염병 정책에 포함시킬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의학에서는 질병이라는 것을 주로 외부적인 인자, 즉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에 의해 인체의 특정 부위에 변화가 생겨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그 특정 증상 및 그 특정 증상을 야기한 직접적인 원인에 관해 치료를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특히, 감염병의 경우 바이러스 및 세균에 의해 전파됨을 감안할 때, 감염병 대응을 위해서는 바이러스 및 세균학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 해당 바이러스, 세균에 대한 진단검사 방법, 해당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작동기전, 해당 바이러스 예방을 위한 백신 개발 연구, 대응지침 및 치료법 등이 기본이라는 것이다.

반면 시각에 의한 망진(시각)과 절진(맥), 문진을 통한 진찰, 한약조제 등 한의학적 방법으로 감염병 진단 및 대응지침, 임상가이드라인 마련, 치료 등을 한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의협은 “한의계측에서 감염병 정책에 참여하고 정부의 지원책 등을 요구하려면 이와 관련한 객관적인 근거와 과학적인 검증결과, 임상결과 등을 제출해야 할 것”이라며, “그동안 의학에 편승해온 행태를 중단하고 한의학의 정체성을 살려 나가길 바라마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 한의학에 대한 투자가 부족하다는 한의계측 주장에 대해서도 “한의약육성을 위한 정부차원의 막대한 지원금이 투입됐는데 재정지원 운운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한의계는 그간 정부지원금으로 무엇을 했는지 반문하고 싶고, 이제까지 충분하게 한의약육성을 위해 정부차원의 지원을 했다고 판단되며, 앞으로는 한국의학의 세계화를 위해 의학쪽 지원을 대폭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kioo@kukimedia.co.kr

[쿠키영상] 20년 동안 쇠사슬에 묶여 지내던 '서커스단 퓨마'가 해방되는 날

[쿠키영상] '귀여움 두 배~♥' 아빠의 통기타 연주에 맞춰 춤추는 쌍둥이 자매

[쿠키영상] "머리 좀 쓸 줄 아네!" 지능적인 범고래 '눈길'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