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키뉴스=조민규 기자] 바람이 스치기만 해도 통증이 느껴진다고 해서 이름이 붙여진 ‘통풍’은 몸 안에 요산이 지나치게 많아지면서 생기는 염증성 질환으로 통증이 아주 심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성상철)이 ‘통풍’ 질환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4년진료를 받은 환자가 남성(28만2998명)이 여성(2만6358명) 보다 10.7배 많았다. 특히, 30대 남성은 여성보다 약 22.2배 많은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의 경우도 남성이 1133명, 여성은 107명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10.6배 많았고, 30대 남성이 여성보다 21.1배 많은 진료를 받았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류마티스내과 이찬희 교수는 남성이 여성보다 ‘통풍’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여성호르몬이 요산수치를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기저질환이 없는 여성에서 폐경 전에 통풍이 진단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술은 몸 안에서 요산이 많이 만들어지게 하고, 신장으로 요산이 배설되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어 통풍발작과 많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 요산의 대사과정에 이상이 있거나, 비만·고혈압·고지혈증·탄산음료 등도 요산을 올리는 역할을 한다.
몸 안에 요산수치가 높다고 해 100%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무증상 고요산 혈증(피검사에서 요산수치는 높게 나타나지만 증상이 전혀 없는 상태로 이중 약 5%정도에서만 전형적인 통풍 증상을 보이게 된다) ▲급성 통풍성 관절염(40세에서 60세 사이의 남자에서 술 마신 다음날 엄지발가락에 매우 심한 통증, 발적, 종창이 나타나는 것이 전형적인 급성 통풍성 관절염의 증상) ▲간헐기 통풍(급성 통풍성 관절염 사이의 증상이 없는 시기를 말한다) ▲만성 결절성 통풍(급성 통풍성 관절염이 있는 환자에서 요산수치를 조절하지 않으면, 만성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때에는 간헐기에도 심하지 않은 통증이 지속적으로 존재하며, 요산의 결정체에 의해 형성된 결절이 몸에 나타나게 된다. 보통 첫 발작이 있은 후 10년 정도 지나면 생기게 된다) 등의 증상을 보인다.
‘통풍’ 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요산수치를 떨어뜨리고 합병증을 줄이는 것이다. 합병증 중에 가장 신경이 쓰이는 부분은 역시나 콩팥 기능이 떨어지는 것이다. 치료법은 질병의 단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특히 통풍환자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중의 하나는 음식 조절인데 식이요법을 엄격히 하더라도 요산수치는 1mg/dL정도 감소해 통풍환자가 요산저하제를 복용하고 있다면 요산이 많이 포함된 음식에 대한 엄격한 제한보다는 성인병을 일으키는 음식에 대한 조절이 더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통풍도 성인병의 일종이므로 비만,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과 연관이 많다(통풍환자에서는 이러한 성인병을 동반한 경우가 많다). 이들 성인병은 몸 안에서 요산을 많이 만드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등 푸른 생선(고등어 등)이나 시금치 등을 조심하기 보다는 기름진 음식을 조심하는 것이 더 중요할 수 있다.
특히 술과 연관이 많은데 술은 몸 안에서 요산을 많이 만들게 하고, 소변으로 요산이 배설되는 것을 방해하며, 특히 맥주는 요산의 원료가 들어있기 때문에 통풍과는 상극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좋다. 금주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 같다. 최근에는 탄산음료나 과당이 많이 함유된 과일주스도 요산 수치를 올린다는 보고가 있어 이에 대해서도 조심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kioo@kukimedia.co.kr
[쿠키영상] '공포의 곰' 회색곰과 함께 피크닉 즐기는 모녀?..."좋아하는 음식은 치즈와 쿠키!"
[쿠키영상] 美 성인물 광고…손자의 '19금' 선물에 감동한 할아버지
[쿠키영상] "이런 공격 쯤이야"…공중 360도 회전하는 레슬링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