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한없다” “총수 아니다”…김병주 MBK 회장 반응에 여야 한 목소리 질타 [2025 국감]

“권한없다” “총수 아니다”…김병주 MBK 회장 반응에 여야 한 목소리 질타 [2025 국감]

첫 정무위 국감 출석해 “사회적 책임 다하겠다” 공개 사과
“회생 절차, 권한 없다”, “MBK, 대기업 아니다” 모호한 답변
“책임지고 어떻게든 계획 내놓아야” 여야 의원 질타 이어가

기사승인 2025-10-14 20:39:15 업데이트 2025-10-14 20:51:54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14일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 질의를 들으며 안경을 고쳐쓰고 있다. 연합뉴스

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의 책임 당사자인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처음으로 국회 증인석에 섰다. 김 회장은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하다”고 고개를 숙이며 사과했지만, 정작 홈플러스 정상화 방안에 대한 질의에는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않아 논란이 이어졌다.

14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한 김병주 회장은 “홈플러스 임직원과 이해관계자들을 위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후 이어진 질의에서는 구체적인 방안이나 일정에 대한 언급을 피하며 진정성 논란이 제기됐다.

홈플러스는 2015년 MBK파트너스에 인수된 이후 경영난이 장기화됐고, 올해 3월 결국 법원에 기업회생을 신청했다. 김병주 회장이 국회 증인으로 출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홈플러스가 회생 절차를 신청한 이유가 무엇이냐”고 묻자, 김 회장은 “회생 절차에는 제 권한이 없다”고 답했다.

민 의원은 “홈플러스를 인수할때 MBK에서는 홈플러스를 소비자 유통기업이 아니라 부동산 자산 묶음으로 생각했고 이를 팔아서 현금 흐름을 만들고 이익을 빼겟다고 생각한 것”이라며 “현금 흐름이 어려워지고 임대료를 내야하니까 이런 상태에서 현금 흐름을 늦추기 위해 15% 대금 이자를 준 것으로 보인다. 어떤 사회적 책임질 건지 듣고 싶다”고 지적했다.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그렇다면 회장으로서 어떤 의사결정에 참여하느냐”고 묻자, 김 회장은 “저희는 대기업이 아니고 저는 총수가 아니다”라며 “MBK파트너스는 PE운용사고 13명 파트너들이 각 자기 분야를 담당해 관여한다. 제가 담당하는 파트는 펀드 레이징(Fund raising), 자금을 일으키는 것이고 그 자금을 받은 투자처를 관리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유동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MBK가 홈플러스에) 처음 400억원을 내놓으셨고 지급 보증도 쓰고 이자 지급금도 쓰는 등 3000억원이라고 주장하지만 논란의 여지는 있다고 본다. 김병주 회장이 대한민국과 국민의 사회적 책임을 위해 조금 더 진정성을 보여야 한다. 대한민국 최고 부자라는 말이 나오고 재산이 14조라고도 하는데, 안하는 걸로 보이고 있다”며 꼬집기도 했다.

MBK는 홈플러스의 정상화를 위해 기존에 증여나 대출 보증 방식으로 지원한 3000억원과 함께 앞으로 최대 2000억원을 추가 증여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기존 지원금 3000억원 중 1000억원은 김 회장이 사재로 출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추가 자금 2000억원은 MBK의 운영수익(관리보수 및 성공보수)을 활용해 마련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김 회장은 “(14조원은) 우리 법인의 가치를 매긴 것 같은데 MBK파트너스는 비상장회사이며 유동할 수 없는 가치를 갖고 있다. 주식을 팔아서 유동화해 재산을 만드는 구조가 아니다”라며 “이해를 해달라”고 말했다.

홈플러스는 법원이 6월20일 인가 전 M&A를 허가하면서 매각 절차에 들어갔지만 잠재적 인수 후보로 거론된 기업들도 실제 참여로 이어지지 않으면서 일정이 지연되고 있다. 당초 ‘스토킹호스(Stalking-horse)’ 방식을 추진했으나, 법원이 정한 시한 내 원매자를 확보하지 못해 결국 공개경쟁입찰로 방향을 선회했다.

현재 홈플러스는 기업회생의 최후 수단으로 매각을 진행 중이지만 올해 내 매각이 무산될 경우 청산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치권에서는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 인수 이후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은 채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며 ‘먹튀’ 논란을 제기했고, 이날 국감에서도 여야 의원들의 관련 질타가 끊이질 않았다.

유영하 국민의힘 의원은 “유동성 문제가 터진다는 것을 알고 어느 시점에 엑시트 할지 시뮬레이션을 다 돌려봤을 것”이라며 “사모펀드가 투자하다 보면 손실을 볼 수도 있는데 왜 이득만 보려고 하나. 손실이 났으면 책임져야 한다.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 국민 여론이 바뀐다”고 지적했다.

한창민 사회민주당 의원도 “홈플러스 폐점 구조조정으로 노동자 1만명이 일자리를 잃고, 납품업체 1800개가 피해를 본 상황에 내몰렸다. 이번 연말까지 15개 점포를 폐점하면 2만명의 노동자와 17만명의 관계자가 생활 터전을 잃고, 지역 상권은 무너진다”며 “무책임한 거짓말로 국민을 기만하면서 사회적 책임을 다한다고 하는데 무슨 책임을 졌냐. 사재출연을 하든 어떤 계획을 내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다빈 기자
dabin132@kukinews.com
이다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