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대학교병원 연구팀이 심장 수술에 사용하는 이종조직판막(동물 심장판막 조직)에서 면역 거부반응을 유발하는 성분을 제거하고, 사람 세포를 공배양해 체외에서 살아 있는 조직처럼 만드는 데 성공했다.
김소영 의생명연구원 연구교수, 김기범 소아청소년과 교수, 임홍국 소아흉부외과 교수 연구팀은 동물 심장판막에서 α-Gal과 Neu5Gc 등 주요 이종항원을 제거한 뒤 사람 세포를 심어 체외 재세포화를 유도하는 연구를 진행했으며, 이를 통해 면역 거부반응 억제와 조직 재생 가능성을 동시에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팀은 α-갈락토시다아제(α-Galactosidase)와 PNGase-F(Peptide-N-Glycosidase F) 두 효소를 병용했을 때 판막 조직의 구조와 강도를 유지하면서 항원 제거 효과가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공배양된 세포가 조직 내부로 안정적으로 침투해 재세포화가 진행됐으며, 관련 단백질 발현도 증가해 조직 재생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를 얻었다.
임홍국 교수는 “세계 최초로 탈세포화와 효소 병용처리를 통해 항원 제거 효과를 극대화하고 재세포화 가능성을 입증했다”며 “향후 실제 환자 치료로 이어질 수 있도록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