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문준호 교수 연구팀(공동 제1저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석송 교수, 교신저자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소화기내과 김원 교수)이 20·30대 지방간질환 환자가 50세 미만에서 암이 생길 위험이 일반인보다 약 20% 높다는 대규모 코호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활용해 2013~2014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20·30대 287만 명을 최대 10년간 추적해 간을 포함해 소화기·비뇨생식기·호흡기·내분비 등 23개 암 발생을 분석했다. 이 결과 지방간질환자는 대사이상성 19%, 대사·알코올 복합성 12%, 알코올성 21% 등 모든 유형에서 암 발병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비만이 발병과 연관된 암에서 위험도가 컸다. 대장암의 상대위험도는 최대 1.32배, 신장암 1.53배, 갑상선암 1.36배, 자궁내막암은 3.78배에 달했다.
지방간질환은 비만·당뇨·고지혈증 등 대사질환과 음주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생기며, 국내 20·30대 유병률은 34.3%로 추정된다. 하지만 간 외 장기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연구가 제한적이다. 연구팀은 지방간 환자를 새로운 조기 암 위험군으로 보고, 젊은층을 대상으로 한 통합 검진과 암 조기 진단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문준호 교수는 “50세 이전 암은 진행이 빠르고 공격적이어서 조기 진단 여부가 예후를 좌우한다”며 “젊은층에서 지방간과 비만을 조기에 발견하고 암 발병까지 모니터링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