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저개발된 비(非)역세권 지역을 전면 조사·분석해 ‘성장잠재권 지역 활성화 전략’을 마련한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조사의 핵심은 대중교통 접근성·기반시설·지역 여건 등 지역 특성을 종합적으로 살펴 발전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찾아내는 것이다.
특히 △역세권과 비역세권 간 연계성 △노후 건축물이 많지만 유동 인구가 풍부한 지역 △대중교통·생활 사회간접자본(SOC)·녹지공간 확충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
시는 조사를 통해 지하철 외에 대중교통·기반시설 등 입지 여건이 양호한데도 노후화된 지역을 활성화할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주거·상업 기능을 공급하고 생활 SOC, 보행 환경·녹지공간 등 생활 환경 개선도 함께 이뤄지도록 지원한다.
또 성장 잠재력이 있는 지역을 도출해 내년에 이를 기반으로 활성화 모델을 마련해 사업화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조남준 서울시 도시공간본부장은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지역을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미래 성장거점으로 탈바꿈시킬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도시 전반적인 활성화를 통해 시민 모두가 체감할 수 있는 새로운 도시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다각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