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GFR 돌연변이 폐암의 1차 치료에서 아미반타맙·레이저티닙 병용요법이 기존 표적치료제보다 생존 기간을 늘릴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연세암병원 폐암센터 조병철 교수 연구팀은 치료 이력이 없는 EGFR 돌연변이 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다국가 무작위배정 3상 임상에서 이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EGFR 변이 폐암은 전체 폐암의 25~40%를 차지하며 매년 전 세계적으로 약 45만명의 환자가 새로 발생한다. 현재 표준치료제인 오시머티닙은 반응률 80%, 무진행생존기간(PFS) 16~18개월을 보이나 대부분 환자에서 내성이 생긴다.
조 교수팀은 앞서 1·2상에서 병용요법 효과를 확인한 뒤 이번 3상으로 확대했다. 아미반타맙은 진행성 EGFR 변이 폐암 치료제로, 레이저티닙은 EGFR 엑손20 변이 폐암 약제로 각각 식약처 승인을 받았다. 이 병용요법은 지난해 8월 미국 FDA에서도 무진행생존기간 개선 효과로 승인을 얻은 바 있다.
연구에서 병용요법을 적용한 429명의 3년 생존율은 60%로 오시머티닙군보다 9% 높았고,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은 관찰 기간(37.8개월)을 넘겼다. 반면 오시머티닙군은 36.7개월을 기록했다. 뇌전이가 동반된 환자군에서도 병용요법이 우수한 효과를 보였으며, 부작용은 주로 피부 발진과 손발톱 주위 염증 등으로 대체로 조절 가능했다.
조 교수는 “지난해 무진행생존기간 개선을 입증한 데 이어 전체생존기간까지 개선함으로써 병용요법이 EGFR 변이 폐암의 새로운 표준치료가 될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항암화학요법을 대체할 무(無)화학요법 전략(first-line chemotherapy-free) 시대를 여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