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청은 산사태 추가 피해 예방과 피해지 수습·복구를 위해 총력 대응한다고 20일 밝혔다.
산림청은 지난 16일부터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피해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산사태예측정보를 시도 및 시군구 담당자에게 매시간 알림톡으로 제공하고 부단체장에게는 직접 유선으로 위험상황을 공유해 주민대피 등 선제적 조치를 당부했다.
이어 19일부터 산사태예방지원본부를 중앙사고수습본부로 전환해 운영 중이다.
산사태 위기경보 ‘심각’ 단계 지역 중 대전, 세종, 충남, 충북, 경남, 산청, 합천, 가평에 과장급 산사태 현장협력관을 파견해 주민대피와 피해 수습에 필요한 중장비 등 재난관리자원 응급 지원체계를 가동했다.
특히 19일 경남 산청군에 산림청 국유림관리소와 지역산림조합 굴착기 6대, 산불재난특수진화대 16명을 파견해 매몰자 수색, 토사정리 등 피해 수습을 지원했다.

또 피해현황 파악과 응급복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한국치산기술협회 4개 반 8명을 파견했다.
20일에는 산불재난특수진화대 78명과 장비 18대를 투입했으며, 산청군 안봉리에서는 진입도로가 막혀 펜션에 고립된 6명을 구조했다.
아울러 경기 가평군청 요청으로 연인산도립공원에 고립된 사람들을 위해 물, 식료품 등 생필품을 산불진화헬기로 공수했다.
산청군 산사태 피해지를 점검한 임상섭 산림청장은 “현재 집중호우로 토양이 물을 많이 머금고 있어 작은 충격에도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재난관리자원을 총동원해 추가 산사태 피해 예방과 피해지 수습·복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