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답보다 중요한 건 질문’…서울형 토론캠프에 가다 [르포]

‘정답보다 중요한 건 질문’…서울형 토론캠프에 가다 [르포]

기사승인 2025-07-07 15:18:48 업데이트 2025-07-07 15:18:56
서울형 토론 캠프에 참여한 학생이 하트 모양 메모지에 소감을 적어 부착하고 있다. 황인성 기자 

“찬반 토론만 중요한 게 아니라 서로의 생각을 존중하는 것도 필요하다는 걸 알게 됐어요”

토론캠프를 마친 한 아이가 수줍게 남긴 소감이었다. 그는 처음에는 낯설었지만, 질문을 주고받으며 친구들과 조금 더 가까워졌다고 했다.

5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하이서울유스호스텔. 서울 남부교육지원청이 마련한 ‘질문이 있는 서울형 토론 학생캠프’에 초등학교 5학년 32명이 모였다. 행사 시작과 함께 한미라 교육장이 아이들을 향해 따뜻한 인사를 건넸다. “질문은 생각의 시작이에요. 오늘은 정답을 찾으려 애쓰기보다 서로의 이야기를 귀 기울여 들어보길 바랍니다.” 격려의 말에 아이들의 긴장이 조금 풀렸다.

이날 독서 토론 캠프는 정효선 개봉초 수석교사가 진행을 맡았다. 각자 읽어온 책 「시간 유전자」를 떠올리도록 간단한 퀴즈 시간도 있었다. 모둠별로 나눠 받은 태블릿에 답을 입력하자, 화면에 정답이 뜰 때마다 여기저기서 작은 웃음과 탄성이 터졌다. 잠깐 쉬는 시간이 지나고, 아이들은 다시 자리에 앉아 본격적인 토론 준비에 들어갔다.

캠프에 참여한 학생들이 태블릿을 활용해 사전 독서 퀴즈에 답하고 있다. 황인성 기자 

이제 어떤 주제로 토론을 할지 모둠별로 머리를 맞댔다. “가난해도 오래 사는 게 행복할까?”, “시간 유전자 이동 기술은 꼭 필요한 걸까?” 질문이 하나씩 쌓여 갔다. 

발표 시간이 다가오자 아이들은 살짝 긴장한 얼굴로 자신들의 차례를 기다렸다. 한 모둠씩 나와 자신들의 질문을 설명했다. 마지막에 6모둠 학생이 떨리는 목소리로 말했다. “소중한 시간을 제대로 쓰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곧바로 교육장을 포함해 모든 참가자가 투표를 했다. 가장 많은 표를 받은 주제는 6모둠의 질문이었다. “소중한 시간을 어떻게 써야 할까요?” 아이들은 또 한 번 머릿속에 물음표를 그렸다.

캠프에 참가한 한 학생이 모둠에서 나눈 이야기를 발표하고 있다. 황인성 기자 

토론이 시작됐다. 4명씩 모둠을 이룬 아이들이 차례로 의견을 꺼냈다. “중요한 일을 먼저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좋아하는 걸 해야 행복할 것 같아요” 옆에 앉은 친구들이 “왜 그렇게 생각해?”, “그건 언제부터 그렇게 느꼈어?” 하고 되물었다. 지도교사들은 아이들이 막히면 부드럽게 힌트를 주고, 다시 물러났다. 처음엔 조용하던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서로의 대답이 이어졌다.

토론이 끝난 뒤엔 발표와 소감 시간이 이어졌다. “같은 책을 읽었는데도 다 다르게 생각해서 놀랐어요” “질문을 직접 만들다 보니 더 기억에 남아요” “싸우지 않고 토론하는 게 좋았어요” 아이들은 조심스러운 목소리로 토론의 경험을 털어놓았다. 

마지막으로 아이들은 각자 느낀 점을 작은 메모지에 적어 하트 모양으로 벽에 붙였다. ‘질문하는 게 처음엔 어렵지만 해보니 기분이 좋았다’, ‘시간을 되돌린다면 부모님과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싶다’ 등등 긴 여운을 남기는 짧은 문장들이 가득했다.

‘질문이 있는 서울형 토론 2.0 학생캠프’에 참여한 학생들이 자신만의 소감을 적은 메모지를 게시판에 붙이고 있다. 황인성 기자  

정오를 넘겨 캠프 종료 시간이 가까워지자 학부모들이 아이들을 마중 나왔다. “어땠어?”라는 물음에 아이들은 쑥스럽게 “재밌었어요”라며 활짝 웃어 보였다. 대답은 짧았지만 즐거움이 가득한 표정만큼은 분명했다.

이번 캠프는 서울시교육청이 개발해 보급한 ‘질문이 있는 서울형 토론모형’이 현장에서 성과를 낸 사례로 평가된다. 남부교육지원청은 이 모형을 바탕으로 매년 꾸준히 학생 캠프를 열어 왔으며, 교사들의 자발적인 교사회 모임과 연수를 이어오며 가장 활발하게 운영 중이다. 점수나 경쟁 대신, 아이들이 서로의 생각을 탐색하고 공감하는 경험을 쌓도록 한 것이 이번 행사의 가장 큰 성과였다.

황인성 기자
his1104@kukinews.com
황인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