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약처, 1조7209억원 생산…전년 대비 2.3% 증가
[쿠키뉴스=조민규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바이오의약품의 수출은 늘고 수입은 감소해 ’09년 이후 처음으로 무역수지가 흑자로 전환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국내 바이오의약품 수출은 ‘15년 7억8915만달러(8925억원)로 ’14년(5억8892만달러, 6660억원) 대비 34.%로 크게 증가한 반면, 수입은 7억3822만달러로 ‘14년(8억7669만달러, 9915억원) 대비 15.8% 감소했다. ‘15년 생산실적은 1조7209억원으로 ’14년(1조6818억원) 대비 2.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오의약품은 화학의약품과는 달리 사람이나 생물체에서 유래 원료를 사용해 제조한 의약품으로 백신, 세포치료제, 혈액제제, 바이오시밀러 등이 있다.
지난해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주요 특징은 ▲수출 급증으로 무역수지 흑자 달성 ▲수출1위 품목 램시마원액 ▲보툴리눔톡신제제 국산화로 수입 대체 등이다.
‘15년 바이오의약품 수출은 7억8,15만달러로 ’14년(5억8892만달러) 대비 34.% 증가했으며, 최근 5년간 평균도 33.7% 으로 고속 성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수입은 ‘14년(8억7669만달러) 대비 15.8% 감소한 7억3822만달러를 기록해 5093만달러(576억원) 무역흑자를 달성했다.
‘15년 우리나라 바이오의약품 시장규모는(생산+수입-수출) ’14년(1조9849억원) 대비 16.2% 감소(1조6633억원)했는데 이는 생산실적에는 큰 변동이 없는 가운데 수출은 증가한 반면 수입은 감소한데 따른 것이다.
바이오의약품 수출 1위 품목은 ‘15년 램시마원액(4억3932만달러, 4970억원)으로 ’14년(2억477만달러, 2320억원) 대비 2배 이상 증가했으며, 전체 바이오의약품 수출실적의 절반 이상(55.7%)을 차지했다. 램시마는 식약처 맞춤형 지원을 통해 ‘12년 세계최초로 항체 바이오시밀러로 허가 받은 제품으로 ’13년 유럽의약품청(EMA)로부터 판매승인을 받은 이후 수출이 급증했으며, 지난 4월 FDA 판매승인으로 미국을 포함한 71개국에서 판매할 수 있게 되어 생산 및 수출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 수출 1위 국가는 ‘14년(972만달러) 대비 수출이 약 17배 증가(1억6844만달러)한 헝가리로 조사됐으며, 램시마원액 수출 증가가 주요요인으로 보인다.
한편 ‘보툴리눔톡신’은 국내제품(12품목) 개발 증가로 경쟁력이 강화되어 국내 시장이 수입제품(4품목)에서 국내제품으로 대체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보툴리눔톡신제제 생산실적은 2.9%증가(`14년 766억원→`15년 788억원) 증가한 반면, 수입은 31.9%감소(`14년 818만달러→`15년 558만달러)했다.
백신제제는 수입의 경우 ‘15년 1억7872만달러(2021억원)로 ’14년(2억9321만달러, 3316억원) 대비 크게 감소(39.%)한 반면, 백신제제 생산실적은 ’14년(3751억원) 대비 15.3% 증가한 4323억원이었다. 이는 식약처가 ‘글로벌 백신 제품화 지원단’을 통해 맞춤형 컨설팅으로 독감백신, 뇌수막염백신 개발 등 백신 자급화를 지원한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는 설명이다.
수입 1위 품목은 한국화이자제약의 폐렴구균백신 ’프리베나13주‘(5430만달러, 614억원)였으며, 수입 1위 국가는 1억8601만달러(2104억원)를 기록한 스위스로 나타났다. kioo@kukinews.com
끔찍한 얼룩말의 비극
[쿠키영상] ‘2+1=?’ 칠판 앞에서 고민하는 소년, 친구가 슬쩍 알려준 정답에 ‘OK'
[쿠키영상] 카리타스 기아퇴치 캠페인 영상 눈길...'천국과 지옥은 가까이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