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관, 외부 전문기관에 전자의무기록 위탁·운영 가능해져

의료기관, 외부 전문기관에 전자의무기록 위탁·운영 가능해져

기사승인 2016-05-13 00:07:56
"
‘전자의무기록의 관리·보존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에 관한 기준’ 고시안 행정예고

[쿠키뉴스=조민규 기자] 보건복지부는 ‘전자의무기록의 관리?보존에 필요한 시설과 장비에 관한 기준’ 고시제정안을 마련해 5월13일부터 6월1일까지 행정 예고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정예고안은 지난 2월5일 개정된 ‘의료법 시행규칙 제16조 제2항’에서 위임한 전자의무기록의 안전한 관리·보존을 위해 갖춰야 하는 시설과 장비에 관한 세부사항을 담고 있다.

고시 제정안의 주요내용을 보면 백업저장장비·네트워크 및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보안장비 등 의료기관이 갖춰야하는 시설과 장비에 관해 내·외부 보관시 공통 조치사항과 외부보관시 추가 조치사항을 규정했다.

공통 조치사항으로는 주기적 백업, 개인정보의 암호화 및 접근통제, 보안프로그램 설치, 잠금장치의 설치 등 ‘개인정보보호법’을 준용해 최소한의 기준을 마련하고, 의료기관 외부장소에 보관시에는 무중단 백업 및 복구, 네트워크 이중화, 인증 보안제품 사용, 출입통제구역·재해예방시설 설치 등 의료기관 내부보관시보다 강화된 조치사항을 추가했다.

또 의료기관이나 의료기관 개설자가 개인정보보호법 제26조에 근거해 외부 전문기관에 전자의무기록의 위탁·운영이 가능하도록 했다.

그간 규제개선의 일환으로 전자의무기록을 의료기관 내부에서만 보관·관리하도록 했던 의료법 시행규칙을 개정해 자율선택에 따라 외부에도 보관·관리가 가능하도록 허용함에 따라 전자의무기록을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보관·관리할 수 있도록 보관 장소(내·외부)에 따른 차별화·강화된 시설·장비 기준이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의사협회·병원협회 등 보건의료단체, 의료현장 및 정보통신 전문가, 관련 업계 등과의 수차례 사전협의 및 자문을 거쳐 고시제정안이 마련됐다.

의료정보관련 전문가들은 “금번 의료법 시행규칙 개정 및 고시제정으로 발달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해 전자의무기록 운영의 효율성과 정보보호수준을 높이고, 관련 산업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정보관리 및 보안이 취약한 중소병원·의원은 전문적인 보관·관리기관을 활용해 향상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향후 의료정보 관련 데이터(백업)센터, 웹호스팅 등 인터넷기반의 다양한 정보통신서비스 시장 개척이 가능하게 된다.


2014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료기관의 정보화현황 조사’에 따르면 전자의무기록시스템 보급률은 92.1%, 시스템 관리 전담부서 3.8%, 인력보유 2.7명 수준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행정예고 기간 중 관계 부처와 국민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한 후 고시제정안을 확정해 2016년 8월6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kioo@kukinews.com




[쿠키영상] 차량 쇼룸에서 제멋대로! 황당 커플


[쿠키영상] 세계 최대의 낙차를 자랑하는 앙헬폭포(Angel Falls), 드론이 담다!

[쿠키영상] 피트니스 선수 오채원의 하체 근력 강화 운동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