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대상 취업 사기와 감금 사건이 잇따르자 경찰이 범정부 차원의 ‘캄보디아 내 한국인 대상 범죄 종합대응단’을 구성했다.
14일 외교부에 따르면 올해 1~8월 캄보디아에서 입국 후 연락이 두절되거나 감금됐다는 신고는 330건으로, 지난해 220건보다 크게 늘었다.
이 중 올해 260명, 지난해 210명은 ‘종결’ 처리됐다. 대부분은 현지 경찰의 체포 및 구조 후 추방, 자력 탈출, 연락 재개 등으로 감금 상태가 아니라는 점이 확인됐다.
그러나 올해 8월 기준으로 80여 명의 한국인의 안전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다. 특히 캄보디아 경찰 단속에 따라 온라인 스캠 현장에서 검거된 한국인도 90여 명에 달하며, 이 가운데 60여 명은 아직 귀국하지 않았다.
이에 대응해 경찰은 범정부 차원의 ‘캄보디아 내 한국인 대상 범죄 종합대응단’을 운영하기로 했다.
대응단은 국내외 범죄 조직 연루 여부 파악, 온라인 게시물 모니터링, 현지 첩보 수집 등 다각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확보한 단서를 분석해 각 시도청 전담수사팀에 배당해 수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경찰은 외교부에 접수됐지만 경찰에 신고되지 않은 사건 255건에 대해서도 재조사할 계획이다. 향후 경찰 자체 접수 사건과 외교부 신고 사건을 매일 교차 분석해 사건 누락 방지도 약속했다. 아울러 인천공항 출국 게이트에 경찰관을 상시 배치해 현지 범죄 실태를 직접 안내하기로 했다.
현지 협력 강화도 추진한다. 박성주 국가수사본부장은 직접 현지를 방문해 구금된 한국인 송환, 경찰 주재관·협력관 추가 파견, 현지 수사 공조 강화 등을 협의할 방침이며, 현재 캄보디아에 구금된 한국인 63명 중 인터폴 적색수배가 완료된 인원부터 우선 송환해 한 달 내 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경찰청은 오는 20일 열리는 국제경찰청장회의에서 양자회담을 열고 현지 ‘코리안데스크’ 설치를 공식 제안하기로 했다.
한편 캄보디아는 현재 일부 지역이 여행자제 지역으로 지정된 상황이다. 대통령실은 이날 캄보디아에 대해 여행경보 격상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