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금융당국이 소형·전문은행 추가 인가를 언급했다. 당국은 은행 산업 경쟁력 제고 차원에서 소형·전문은행 추가 인가가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소형·전문은행은 일반 은행보다 규모는 작으면서 특정 분야에 집중된 은행을 의미한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케이뱅크나 카카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이 롤모델이 될 가능성이 높다.
시장도 동일한 반응이다. 여·수신은 하되 비대면 거래에 의존하는 모델이 되지 않겠냐는 것이다.
은행은 여·수신 외에 이체·결제·현금 입출금 기능을 가지고 있다. 소형·전문은행이 오프라인 시장에서 경쟁하기란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그렇다면 기본적인 기능을 가지면서 일반 지점이 없는 은행을 떠올릴 수 있다.
인터넷전문은행과 형태가 유사하다. 다만 케뱅·카뱅보다 규모가 작을 것을 감안한다면 이들은 영업을 위해서라도 자본을 계속 쌓아야 한다. 건전성 관리가 우선 과제가 될 전망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여·수신 등 가장 기본적인 기능을 하면서 창구가 없는 비대면 위주 모델이라면 기존 인터넷전문은행 정도 수준이 될 것”이라며 “규모를 따지자면 새마을금고나 상호저축은행, 농협 정도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은행도 규모의 경쟁”이라며 “케이뱅크도 대출을 하고 싶어도 자본금이 없어서 대출을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듯 은행이 크려면 자금을 키워야 하는데 작은 은행은 분명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 한 분야에 특화된 은행이 등장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고액 자산가를 위한 PB(프라이빗뱅킹) 전문이나 서민금융 전문은행이 될 수 있다는 것.
한편으로는 소액대출만 취급하는 대부업이나 수신기능을 갖추면서 소액대출을 취급하는 저축은행과 비슷한 구조로 갈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재준 인하대 교수는 “인터넷전문은행은 중금리 대출을 확대하고 소형 은행은 핀테크 기법을 통한 비용 경쟁력을 확보한 다음 특화된 틈새시장 또는 ‘커뮤니티 뱅크’(특화된 지역은행) 방식의 관계형 금융 쪽이 좋을 것”이라고 권장했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