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성 진통제·감기약 오피오이드와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등 병용 시 위험

마약성 진통제·감기약 오피오이드와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등 병용 시 위험

기사승인 2016-09-12 14:17:09 업데이트 2016-09-12 14:17:11

[쿠키뉴스=조민규 기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이 마약성 진통제·감기약으로 사용되는 오피오이드(opioid)와 벤조디아제핀계(benzodiazepines) 약물 또는 오피오이드(opioid)와 중추신경계(CNS) 억제제 병용시 호흡곤란 등의 위험성에 대해 발표함에 따라 국내 의약전문가 및 소비자 단체 등에 안전성 서한을 배포한다고 밝혔다.

미국 FDA는 오피오이드와 벤조디아제핀계 등의 병용이 증가하고 있고 해당 약물 병용시 호흡이 느려지거나 호흡곤란 ▲사망 등에 이르는 심각한 부작용 초래가 확인됨에 따라 해당 약물 병용시 위험성을 담은 안전성 서한을 배포하고 허가사항 변경 등의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오피오이드’는 통증 및 기침에 ‘벤조디아제핀 계열’은 불안 ▲불면증 치료 ▲ 중추신경계 억제제는 수면제 ▲근육이완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미국 식품의약품청의 동 성분 제제에 대한 안전정보는 미국 내 연구를 통해 마약성 진통제·감기약(opioid)과 벤조디아제핀계열 의약품 또는 CNS억제제의 병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느린호흡 또는
호흡곤란및사망 등 심각한 부작용이 확인됐다고 밝히고 있다.

또 마약성 진통제·감기약(opioid)은 통증 및 기침 치료에 사용되며, 벤조디아제핀 계열 의약품은 불안, 불면증 치료 등에 사용된다. 대상 약물의 병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마약성 진통제·감기약(opioid)과 벤조디아제핀 계열 의약품의 허가사항에 해당내용을 추가하는 절차를 진행 중에 있다. 추가적으로 CNS 억제제의 허가사항 변경 필요 여부는 지속 평가 중으로 알려졌다.

현재 국내에 허가된 마약성 진통제·감기약(opioid) 성분은 16개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은 11개이며 ▲중추신경계(CNS) 억제제는 22개 성분이다.

미국 내 허가사항 변경 예정 성분은 마약성 진통제·감기약 ▲알펜타닐(alfentanil) ▲부프레노르핀(buprenorphine) ▲부토르파놀 (butorphanol) ▲코데인(codeine) ▲디히드로코데인(dihydrocodeine) ▲펜타닐(fentanyl) ▲히드로코돈(hydrocodone) ▲히드로모르폰(hydromorphone) ▲페치딘(meperidine) ▲methadone ▲모르핀(morphine) ▲옥시코돈(oxycodone) ▲oxymorphone ▲펜타조신(pentazocine) ▲레미펜타닐(remifentanil) ▲수펜타닐(sufentanil) ▲타펜타돌(tapentadol) ▲트라마돌(tramadol) 등 18개 성분과 국내 미허가 성분 ▲methadone ▲oxymorphone 등이다.

벤조디아제핀계열은 ▲알프라졸람(alprazolam) ▲클로르디아제폭시드(chlordiazepoxide) ▲클로바잠(clobazam) ▲클로나제팜(clonazepam) ▲클로라제핀산(clorazepate) ▲디아제팜(diazepam) ▲estazolam ▲플루라제팜(flurazepam) ▲로라제팜(lorazepam) ▲oxazepam ▲쿠아제팜(quazepam) ▲테마제팜(temazepam) ▲트리아졸람(triazolam) 등 13개 성분과 국내 미허가 성분 ▲estazolam ▲oxazepam 등이다.

중추신경게(CNS) 억제제는 ▲butabarbital sodium ▲eszopiclone ▲펜토바르비탈(pentobarbital) ▲ramelteon ▲secobarbital sodium ▲suvorexant ▲zaleplon ▲졸피뎀(zolpidem) ▲바클로펜(baclofen) ▲carisoprodol ▲클로르족사존(chlorzoxazone) ▲시클로벤자프린(cyclobenzaprine) ▲단트롤렌(dantrolene) ▲metaxalone ▲메토카르바몰(methocarbamol) ▲오르페나드린(orphenadrine) ▲티자니딘(tizanidine)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 ▲asenapine ▲cariprazine ▲클로르프로마진(chlorpromazine) ▲클로자핀(clozapine) ▲fluphenazine ▲할로페리돌(haloperidol) ▲iloperidone ▲loxapine ▲lurasidone ▲몰린돈(molindone) ▲올란자핀(olanzapine) ▲팔리페리돈(paliperidone) ▲페르페나진(perphenazine) ▲pimavanserin ▲쿠에티아핀(quetiapine) ▲리스페리돈(risperidone) ▲thioridazine ▲티오틱센(thiothixene) ▲트리플루오페라진(trifluoperazine) ▲지프라시돈(ziprasidone) 등 38개 성분과 국내 미허가 성분 ▲butabarbital sodium ▲eszopiclone ▲ramelteon ▲secobarbital sodium ▲suvorexant ▲zaleplon ▲carisoprodol ▲metaxalone ▲asenapine ▲cariprazine ▲fluphenazine ▲iloperidone ▲loxapine ▲lurasidone ▲pimavanserin ▲thioridazine 등이 있다.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