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조민규 기자]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28일 보건의료기술정책심의위원회(위원장: 김선영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를 열고 ‘2016년도 보건복지부 R&D 사업 통합 시행계획’을 확정했다.
2016년도 보건복지부 R&D 전체 예산은 ’15년 예산(총 5246억원) 대비 76억원(1.4%↑)이 늘어난 5323억원이며, 시행계획 대상사업은 질환극복기술개발, 임상연구인프라조성사업 등 총 26개사업, 4,570(기관운영비, 국립병원 연구비 등 기타 R&D 예산 753억원 제외)억원 규모로 신규과제 926억원, 계속과제 3644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2016년에는 실용화 성과를 강화하고, R&D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미래유망기술 분야의 투자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보건의료 R&D 투자재원 다양화 방안 검토 ▲R&D 사업 추진에 있어서 전략성 강화 ▲실용화 성과창출 극대화 ▲선정평가 프로세스 개선 ▲정밀의료 등 미래유망기술 투자기반 마련을 주요과제로 추진할 계획이다.
2016년도 중점투자방향으로 감염병위기대응, 사회적 문제해결 등 국가R&D의 공공성과 책임성을 확대했고, 미래유망분야에 대한 전략적 R&D 투자로 신시장 창출 및 기술선점을 도모했으며, 보건의료기술의 고도화를 위한 인프라 지원을 강화했다. 시행계획은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13~’17)의 ‘HEALTH 전략’과 일관성을 유지해 수립됐다.
우선 주요 질환 극복을 위한 연구 강화(Healing)와 관련, 주요 질병 극복을 위해 예방·진단·치료기술의 완성 단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개발 지원에 1321억원(신규과제 277억원)이 투자된다.
세부적으로 임상현장 및 실용화중심의 연구자 수요형(bottom-up) 질병중심 중개연구 신규 지원(72억원), 보건의료기술 지식기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한 창의적 중개연구 및 미래사회 선제적 대응을 위한 문제해결형 중개연구 계속지원, 환자 및 공공의 이익을 위한 임상적 근거를 생성하기 위한 국민건강임상연구사업(신규 5억원), 환자안전과 관련한 연구 활성화 및 연구 저변 확대를 위한 환자안전연구 지원 확대(신규 10억원) 등이 내용이다.
또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고령화대응 만성병 기술개발 지원, 한의약산업육성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한의약의 과학화·표준화·제품화 추진(신규 41억원), 한의학과 현대의학을 융합한 융합치료기술개발 추진(신규 8억원)된다.
이와 함께 향후 5년 이후 암 예방·진단·치료법을 바꿀 수 있는 5가지 연구 주제를 집중 지원하는 ‘Five in Five’ 전략도 추진(신규 139억원, 암센터)한다.
첨단의료 조기실현 및 신산업 창출을 위한 연구개발도 확대(Economy)된다. 1723억원(신규과제 332억원)이 투자되는 이 사업은 미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고,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유망기술 개발 지원이 목적이다.
우선 신약개발과 관련해 ▲허가용 신약개발 비임상·임상시험(신규 42억원) ▲질환유효성평가기반구축(신규 15억원) ▲제약산업 특화지원(신규 26.9억원) ▲범부처 전주기신약(신규 48.8억원) 등이 지원된다. 의료기기 분야에서는 ▲안전성·유효성 확보를 필요로 하는 미래융합의료기기개발(신규 7억원) ▲의료기기임상시험(신규 26억원) ▲의료기기 중개·임상 지원센터 지원(신규 10억원) 등이 포함됐다.
이외에도 ▲유전체 이행연구 등 포스트게놈다부처유전체사업(신규 90.9억원) ▲희귀난치성질환유전자치료기반기술개발(신규 7.5억원) ▲줄기세포·재생의료 임상 근거확보 및 조기 실용화 지원(신규 45억원) ▲유망보건의료(신규 7.5억원) 등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보건복지 위기대응 R&D(Alert)에는 525억원(신규과제 156억원)이 투입돼 사회·환경변화에 따라 새롭게 부각되는 위험요인 등에 대해 정부차원의 대응 기술개발에 나선다.
이와 관련 주요 감염병에 대한 대응기술 확립을 위한 국가감염병 위기대응 기술(신규 115.7억원) 및 주요 감염병에 대한 면역백신개발 지원하고, 메르스 관리(신규 40억, 질본)와 질병 예방 연구, 희귀질환 진단치료분야 등 투자 지원한다.
건강증진(Well-being) 및 돌봄(Care)기술(better Life)에도 158억원(신규과제 41억원)이 투자된다. 우선 정신건강과 관련해 정신질환의 만성화를 막기 위한 조기진단 및 치료표준화 기술개발(신규 4.83억원), 코호트 기반 장기추적연구 확대를 통한 R&D 기반역량 강화(신규 1억원) 등이 추진된다. 또 고령친화제품 중점기술 개발(신규 3.86억원)과 서비스 개발을 통해 의료비 전달 체계 개선 및 의료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신보건 의료서비스 모델 적용 등 연구지원(신규 23.2억원) 등도 추진된다.
특히 연구자 친화적 생태계 조성(TogetHer)을 위해
854억원(신규과제 121억원)이 투자된다. ‘연구중심병원육성’과 관련 중개-임상연구의 산·학·연·병원 플랫폼 구축 및 연구 수행 등을 위한 지원 강화(신규 37.5억원)되고, 사업화를 전제로 한 특성화 분야 중개연구의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지원기반도 마련한다.
임상의과학연구역량강화를 위해서는 세계선도 의생명과학자 육성, 국제협력 교류 등을 통한 연구역량 강화를 지원(신규 3.7억원)하고, 의약품 및 의료기기 관련 혁신적 아이디어 및 연구 성과의 상품화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도 지원(신규 44.9억원,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한다.
이외에도 ▲줄기세포은행 운영 및 표준화기반 구축(2.8억원) ▲인체자원은행 고도화(신규 9.14억원) ▲보건의료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 및 기술개발(신규 18.75억원) 등도 지원된다.
2016년 보건복지부 R&D 사업은 일부사업을 제외하고 대부분 ‘15년 12월에 사업공고 및 접수를 할 계획이며, 자세한 사항은 ‘보건의료 R&D 포털’ 홈페이지(http://www.htdream.kr)에서 확인 가능하다. kioo@kukimedia.co.kr
[쿠키영상] 기저귀 차림으로 청소 돕는 ‘효자’ 아기
[쿠키영상] 합기도 사범이 전하는 '궁극의 호신술'...검을 든 괴한을 만난다면?
[쿠키영상] "고민하지 말고 둘 다 봐!" 섹시 영상 업로더의 친절한 배려
2016년도 보건복지부 R&D 전체 예산은 ’15년 예산(총 5246억원) 대비 76억원(1.4%↑)이 늘어난 5323억원이며, 시행계획 대상사업은 질환극복기술개발, 임상연구인프라조성사업 등 총 26개사업, 4,570(기관운영비, 국립병원 연구비 등 기타 R&D 예산 753억원 제외)억원 규모로 신규과제 926억원, 계속과제 3644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2016년에는 실용화 성과를 강화하고, R&D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미래유망기술 분야의 투자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보건의료 R&D 투자재원 다양화 방안 검토 ▲R&D 사업 추진에 있어서 전략성 강화 ▲실용화 성과창출 극대화 ▲선정평가 프로세스 개선 ▲정밀의료 등 미래유망기술 투자기반 마련을 주요과제로 추진할 계획이다.
2016년도 중점투자방향으로 감염병위기대응, 사회적 문제해결 등 국가R&D의 공공성과 책임성을 확대했고, 미래유망분야에 대한 전략적 R&D 투자로 신시장 창출 및 기술선점을 도모했으며, 보건의료기술의 고도화를 위한 인프라 지원을 강화했다. 시행계획은 보건의료기술육성기본계획(’13~’17)의 ‘HEALTH 전략’과 일관성을 유지해 수립됐다.
우선 주요 질환 극복을 위한 연구 강화(Healing)와 관련, 주요 질병 극복을 위해 예방·진단·치료기술의 완성 단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개발 지원에 1321억원(신규과제 277억원)이 투자된다.
세부적으로 임상현장 및 실용화중심의 연구자 수요형(bottom-up) 질병중심 중개연구 신규 지원(72억원), 보건의료기술 지식기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한 창의적 중개연구 및 미래사회 선제적 대응을 위한 문제해결형 중개연구 계속지원, 환자 및 공공의 이익을 위한 임상적 근거를 생성하기 위한 국민건강임상연구사업(신규 5억원), 환자안전과 관련한 연구 활성화 및 연구 저변 확대를 위한 환자안전연구 지원 확대(신규 10억원) 등이 내용이다.
또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고령화대응 만성병 기술개발 지원, 한의약산업육성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한의약의 과학화·표준화·제품화 추진(신규 41억원), 한의학과 현대의학을 융합한 융합치료기술개발 추진(신규 8억원)된다.
이와 함께 향후 5년 이후 암 예방·진단·치료법을 바꿀 수 있는 5가지 연구 주제를 집중 지원하는 ‘Five in Five’ 전략도 추진(신규 139억원, 암센터)한다.
첨단의료 조기실현 및 신산업 창출을 위한 연구개발도 확대(Economy)된다. 1723억원(신규과제 332억원)이 투자되는 이 사업은 미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고,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유망기술 개발 지원이 목적이다.
우선 신약개발과 관련해 ▲허가용 신약개발 비임상·임상시험(신규 42억원) ▲질환유효성평가기반구축(신규 15억원) ▲제약산업 특화지원(신규 26.9억원) ▲범부처 전주기신약(신규 48.8억원) 등이 지원된다. 의료기기 분야에서는 ▲안전성·유효성 확보를 필요로 하는 미래융합의료기기개발(신규 7억원) ▲의료기기임상시험(신규 26억원) ▲의료기기 중개·임상 지원센터 지원(신규 10억원) 등이 포함됐다.
이외에도 ▲유전체 이행연구 등 포스트게놈다부처유전체사업(신규 90.9억원) ▲희귀난치성질환유전자치료기반기술개발(신규 7.5억원) ▲줄기세포·재생의료 임상 근거확보 및 조기 실용화 지원(신규 45억원) ▲유망보건의료(신규 7.5억원) 등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보건복지 위기대응 R&D(Alert)에는 525억원(신규과제 156억원)이 투입돼 사회·환경변화에 따라 새롭게 부각되는 위험요인 등에 대해 정부차원의 대응 기술개발에 나선다.
이와 관련 주요 감염병에 대한 대응기술 확립을 위한 국가감염병 위기대응 기술(신규 115.7억원) 및 주요 감염병에 대한 면역백신개발 지원하고, 메르스 관리(신규 40억, 질본)와 질병 예방 연구, 희귀질환 진단치료분야 등 투자 지원한다.
건강증진(Well-being) 및 돌봄(Care)기술(better Life)에도 158억원(신규과제 41억원)이 투자된다. 우선 정신건강과 관련해 정신질환의 만성화를 막기 위한 조기진단 및 치료표준화 기술개발(신규 4.83억원), 코호트 기반 장기추적연구 확대를 통한 R&D 기반역량 강화(신규 1억원) 등이 추진된다. 또 고령친화제품 중점기술 개발(신규 3.86억원)과 서비스 개발을 통해 의료비 전달 체계 개선 및 의료비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신보건 의료서비스 모델 적용 등 연구지원(신규 23.2억원) 등도 추진된다.
특히 연구자 친화적 생태계 조성(TogetHer)을 위해
854억원(신규과제 121억원)이 투자된다. ‘연구중심병원육성’과 관련 중개-임상연구의 산·학·연·병원 플랫폼 구축 및 연구 수행 등을 위한 지원 강화(신규 37.5억원)되고, 사업화를 전제로 한 특성화 분야 중개연구의 글로벌 리더십 확보를 위한 지원기반도 마련한다.
임상의과학연구역량강화를 위해서는 세계선도 의생명과학자 육성, 국제협력 교류 등을 통한 연구역량 강화를 지원(신규 3.7억원)하고, 의약품 및 의료기기 관련 혁신적 아이디어 및 연구 성과의 상품화 촉진을 위한 연구개발도 지원(신규 44.9억원,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한다.
이외에도 ▲줄기세포은행 운영 및 표준화기반 구축(2.8억원) ▲인체자원은행 고도화(신규 9.14억원) ▲보건의료 빅데이터 인프라 구축 및 기술개발(신규 18.75억원) 등도 지원된다.
2016년 보건복지부 R&D 사업은 일부사업을 제외하고 대부분 ‘15년 12월에 사업공고 및 접수를 할 계획이며, 자세한 사항은 ‘보건의료 R&D 포털’ 홈페이지(http://www.htdream.kr)에서 확인 가능하다. kioo@kukimedia.co.kr
[쿠키영상] 기저귀 차림으로 청소 돕는 ‘효자’ 아기
[쿠키영상] 합기도 사범이 전하는 '궁극의 호신술'...검을 든 괴한을 만난다면?
[쿠키영상] "고민하지 말고 둘 다 봐!" 섹시 영상 업로더의 친절한 배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