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처럼 일교차가 큰 시기에는 면역력이 급격히 저하돼 독감, 폐렴, 대상포진 등 감염성 질환에 노출되기 쉽다. 특히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를 비롯해 65세 이상 고령자와 임산부는 면역 기능이 약해 감염 위험이 높은 고위험군에 속한다.
술을 자주 마시는 사람은 독감이나 감기와 같은 호흡기 질환에 걸리기 쉽고 증상도 더 심하게 나타난다. 무엇보다 면역력이 저하된 상태에서 호흡기 질환에 걸리면 회복이 늦고, 폐렴 같은 합병증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크다.
전문가들은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들이 영양 결핍과 면역력 저하로 인해 감기 등 각종 질환에 쉽게 노출되는 경향을 보인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알코올 사용장애 진단을 받고 다사랑중앙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의 주요 동반 질환은 고혈압, 당뇨병, 간경화 같은 간 질환 등이었으며, 감기 또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최근 전국적으로 인플루엔자(독감) 유행 주의보가 발령된 가운데, 다사랑중앙병원 역시 감기 환자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올해 입원환자 감기 발생 건수가 8월에는 77건이었지만, 9월에는 121건으로 크게 늘었다.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는 면역력이 저하되어 감기나 독감 등 호흡기 질환에 더 쉽게 감염될 수 있다. 과도한 음주는 백혈구 수와 항체 생성량을 감소시켜 면역 기능을 무너뜨리고, 코와 기관지 점막의 섬모 운동을 마비시켜 바이러스가 침투하기 쉬운 환경을 만든다.
독감(인플루엔자)의 주요 증상은 고열, 오한, 두통, 근육통 등으로 A형과 B형 모두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특히 소아는 고열, 복통, 구토, 식욕 저하 등이 흔하고, 폐렴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독감(인플루엔자)은 매년 다르지만 보통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유행하며, 예방백신은 방어 항체 형성까지 약 2주간의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10~11월 사이 미리 접종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매년 유행 바이러스가 달라지므로 매년 재접종이 필요하며, 예방효과는 70~90%에 이른다.
예방접종은 가장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질병 예방법이지만, 알코올 사용장애 환자들은 이를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다. 독감과 폐렴 예방접종을 받는 것은 물론, 금주를 실천하는 것이 건강한 가을과 겨울을 보내는 첫걸음이다.
술은 일시적으로 기분을 풀어줄 수 있지만, 면역력을 떨어뜨려 각종 감염 질환의 위험을 높인다. 예방접종과 금주를 함께 실천할 때 계절성 질환으로부터 온전히 건강을 지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