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 두류공원과 신청사를 연계해 미래 성장 거점으로 육성할 방안을 논의하는 ‘두류공원 미래 시민포럼’이 열렸다.
두류공원 미래 시민포럼은 17일 이월드 83타워에서 회의를 열고, 대구시 신청사와 연계한 두류공원의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
회의에는 포럼 회원 18명과 이태훈 달서구청장(고문), 국민의힘 권영진 국회의원 등 약 25명이 참석해 역사·문화·관광 자원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공원 재생 전략을 논의했다.
포럼은 두류공원이 단순한 녹지가 아닌 시민이 참여하는 ‘시민 엔진(Civic Engine)’이자 공론의 장인 ‘공론의 촉매제(Public Opinion Catalyst)’로 자리매김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특히 신청사 건립과 연계해 시민의 자부심을 높이고, 도시 정체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중점적으로 검토했다.
이날 포럼은 권영진 국회의원을 고문으로 위촉했다. 향후 시민 의견을 체계적으로 수렴해 두류공원·신청사 연계 발전 구상을 구체화하고, 정책 제안서를 대구시에 제출할 계획이다.
이태훈 달서구청장은 “두류공원은 지역 소멸 위기를 막는 중요한 공간”이라며 “신청사가 단순히 조화로운 건물이 아닌 대구의 미래 경관을 선도하는 상징물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권영진 국회의원은 “최근 대표 발의한 공원녹지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두류공원이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커졌다”며 “이제는 그 법적 기반 위에 공원의 가치를 높일 실질적인 콘텐츠를 채워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어 “오늘 포럼이 그 출발점이며, 국회 차원에서도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진덕수 대표는 “두류공원은 대구 시민의 삶과 함께해 온 공동체의 상징”이라며 “뉴욕 센트럴파크처럼 시민과 행정이 협력하는 민관 거버넌스 모델을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권영진 의원이 대표 발의한 공원녹지법 개정안이 8월 초 국회를 통과하면서 대구 두류공원의 국가도시공원 지정이 본격화됐다.
이번 개정안은 국가도시공원 지정 요건을 종전 300만㎡ 이상에서 100만㎡ 이상으로 완화하고, 지정 절차를 국무회의 대신 중앙도시공원위원회 심의로 간소화하는 내용을 담았다.
부지면적 약 118만㎡의 두류공원은 이에 따라 지정 요건을 충족해 전국 첫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
대구=최태욱 기자 tasigi72@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