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美 구금 인권침해 주장에 “미진한 부분 파악해 조치”

정부, 美 구금 인권침해 주장에 “미진한 부분 파악해 조치”

기사승인 2025-09-14 20:10:06 업데이트 2025-09-14 20:33:33

LG에너지솔루션 직원들이 12일 오후 3시23분 인천공항 제2터미널에 도착한 데 이어 조현 외교부 장관이 같은 날 오후 5시40분쯤 귀국해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김수지 기자

외교부는 미국 이민당국에 구금됐던 한국인들이 당한 부당한 인권침해와 관련해 “미진한 부분을 면밀히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14일 “우리 정부는 이번 사건 발생 초기부터 미 측에 유감을 표명함과 동시에 미 측의 법 집행 과정에서 우리 국민의 권익이 부당하게 침해돼서는 안 된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제기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미 측과의 협의 과정에서 구금된 우리 국민 대다수의 최우선적 요구사항이었던 최단 시일 내 석방과 귀국에 중점을 두면서도, 구금된 국민의 불편 해소 및 고통 경감을 위한 미 측 조치를 적극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당국자는 미 측이 제한적 외부 통화 허용, 구금시설 상주 의료진의 건강상태 점검 및 의료 검진 기록 작성, 상주 의료진 처방에 따른 일부 의약품 제공 등 우리 측 요청을 일부 수용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날 연합뉴스가 공개한 근로자 A씨의 ‘구금일지’에 따르면 체포 당시 미란다원칙 미고지, 곰팡이 핀 침대, 냄새나는 물 등 열악한 처우와 부당한 대우가 이어졌다. 미 측 요원들이 구금자를 보고 웃으며 ‘노스 코리아’(북한)를 언급하는 등 조롱한 정황도 보인다.

외교부는 구금자들이 속한 기업체들과 함께 인권이나 권익에 대한 부당한 침해가 있었는지 살펴보겠다고 전했다.

A씨는 또 구금 4일차인 지난 7일 한국 총영사관 측이 구금자들에게 “여기에서 사인하라는 것은 무조건 하라”고 말했다고 했다. 총영사관 측은 미 측과 분쟁이 생기면 최소 4개월에서 수년간 구금 상태를 벗어날 수 없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외교부는 이미 자발적 출국이라는 방식으로 협의가 진행 중이었기 때문에 그렇게 안내한 것으로 보인다며, 구금자들이 어떤 서류에 서명했든 미국 체류의 불법성을 인정한 바는 없다고 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이날 한국을 찾은 크리스토퍼 랜다우 미 국무부 부장관은 한미 외교차관회담을 통해 구금 사태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명했다. 그러면서 귀국자들이 미국 재입국 시 어떠한 불이익도 받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우진 기자
jwj3937@kukinews.com
정우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