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이 미국과의 관세협상과 관련해 “과정은 힘들지만 결국 합리적 결론에 이를 것”이라며 국익 수호 의지를 밝혔다.
이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일본 방문 일정을 마친 뒤 미국 워싱턴DC로 향하는 전용기에서 기내 간담회를 열고 “최종적으로는 현실적이고 합리적인 결론에 이르게 될 것”이라며 “그 과정이 매우 힘들겠지만, 미리 대비해 최선을 다해보겠다”고 말했다.
그는 “외교에서 자국 중심 기조가 강해지면서 우리의 국익을 지키기 위해서는 과거보다 몇 배의 노력이 필요한 것 같다”며 “(상대의) 요구를 다 들어주기 어려운 상황 속에서 국익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어려운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과거보다 입지가 어려워진 것이 객관적인 사실이지만, 제가 할 일은 국익을 지켜내고 더 나은 상황을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분명한 것은 대한민국은 주권국가이며, 주권자인 국민이 기대하는 바를 충족시키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 실망하게 해 드리지는 말아야겠다는 책임감을 갖고 있다”면서 “(미국 측이) 대화에서 그리 무리하지 않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정상회담 의제에 대해서는 “자주 있는 기회가 아닌 만큼 나쁜 얘기가 아니라면 다 해봐야 하지 않겠나”라며 제한을 두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정상회담 자리에서 새로 나오는 의제는 많지 않고, 주요 의제는 사전에 실무선에서 구체적으로 협의한다”며 “짐작하는 대로 안보와 국방비, 관세협상 문제 등이 얘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동맹 현대화’ 관련 협상에 대해서는 “(미국 측에서 주한미군 등의) 유연화 요구도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로서는 쉽게 동의하기 어려운 문제”라며 “대신 주한미군의 미래형 전략화 등의 논의는 우리로서도 필요하다”고 짚었다. 그는 “(양측이 주장하는) 단어의 의미가 조금씩 다른데, 이런 부분을 조정하는 것이 협상인데 생각하는 것처럼 (분위기가) 험악하지는 않다”고 전했다.
이 대통령은 미국의 농축산물 추가 개방 요구 가능성에 관해 “(지난달 타결한) 협상 결과에 대해 한국에 유리하게 된 것 아니냐는 미국 측의 시각이 분명히 있다. 미국 부처 단위에서는 (합의 내용을) 조금 바꾸자는 요구가 생겨나는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런 문제도 포함해 당시에 논의가 됐다”며 “이미 큰 틀의 합의를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발표한 상황에서 쉽게 바꾸겠다고 할 수 없는 노릇 아닌가”라고 했다.
이어 “(어느 나라든) 자국의 이익을 위해 새로운 요구를 하기 마련이다. 우리 역시 끊임없이 대한민국에 유리한 새로운 의제를 제기하거나 (기존 합의를) 바꾸려고 노력한다”면서도 “일단 합의가 된 것을 쉽게 뒤집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라고 피력했다.
이 대통령은 구체적인 협상 내용에 대한 질문에는 말을 아꼈다. 그는 “지금 밝혀버리면 김이 새거나, 기대감을 너무 높였다가 실망감을 불러오는 결과가 될 수 있다. 말보다는 실천과 결과로 보여주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