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국채보상운동?...지방銀, 日경제보복 맞서 지역경제 지킨다

제2국채보상운동?...지방銀, 日경제보복 맞서 지역경제 지킨다

기사승인 2019-08-09 05:00:00

지방은행들이 일본 수출규제 피해기업들을 도우며 대대적으로 지역경제 불씨를 되살린다. 이는 100여년 전 일본에서 도입한 차관을 갚아 주권을 회복하고자 했던 국채보상운동을 연상케 한다.

9일 은행권에 따르면 BNK·DGB·JB등 지방은행들은 일본 수출규제 피해 업체를 대상으로 총 1조원을 지원한다. 

BNK금융그룹은 이중 절반인 5000억원을 지원한다. BNK금융은 경영안정자금 2000억원을 우선 편성했다. 직접 피해기업은 5억원까지 빌릴 수 있다. 부산·경남은행에서 대출을 신청할 수 있고 신규 시 이자도 최대 2.0% 감면해준다. BNK금융은 자금 소진 시 3000억 원을 추가로 지원할 예정이다. 

일본은 지난달 초 반도체·디스플레이 핵심소재 한국 수출 제동을 걸었고 최근에는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수출심사 우대국가)에서 제외했다. 이로써 1120개 전략물자 수출이 어려워졌고 국내기업에도 적잖은 피해가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부산·경남은 특히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피해가 우려된다. 이 지역에는 일본과 연관된 기업들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해양 부문은 의존도가 낮은 것으로 전해진다. BNK금융은 빠른 지원이 이뤄지도록 영업점 내 비상대책반을 운영하고 있다. 

BNK금융 관계자는 “현재 피해규모가 파악되지는 않았다”며 “우리와 거래하고 있는 업황 조사를 하고 있고 지역 업체들에 여신 등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대구은행은 김태오 DGB금융그룹 회장 겸 대구은행장 지시로 지난주부터 수출규제로 금융애로를 겪는 기업을 파악하고 있다. 대구은행은 현재 3000억원 한도로 자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대구은행 관계자는 “대구지역은 자동차 부품과 정밀금속 가공업종이 많고 다 연관돼 있어서 대부분 기업이 피해를 받을 것”이라며 “정밀한 지원을 해야 해서 각 기업별로 (피해상황을)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JB금융지주 계열인 전북은행과 광주은행은 각 1000억원씩 총 2000억원을 기업경영지원 자금으로 내놨다. 전북은행에 따르면 도내 주력산업체 1344개 중 47개 사가 일본 부품을 핵심 소재로 사용하고 있어 피해가 우려된다. 

전북은행은 업체별로 피해금액 내에서 신규 자금을 지원하고 대출신규·연장 시엔 최대 2.0% 이내로 금리를 감면해주기로 했다. 또한 금융애로 신고센터를 구축해 피해 업체를 파악하고 애로사항을 받고 있다. 이밖에 보증기관 과 협약해 간접지원을 하고 기업개선 프로그램도 병행할 방침이다. 

광주은행도 피해를 입었거나 피해가 입을 것으로 예상되는 업체당 최대 20억원을 지원하고 만기연장과 분할상환 유예를 시행한다. 또한 애로사항은 곧장 처리할 수 있도록 상시 지원체제를 도입했고 전문인력을 현장에 투입해 지원방안을 강구하기로 했다. 

광주은행 관계자는 “규제하는 항목이 특수분야”라며 “광주전남은 수출규제와 관련된 산업 군이 적어 바로 규제하는 쪽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농산물 수출이 많아 현재 파악하고 있다. 농산물 쪽에도 규제가 강화된다면 직접 피해가 오지 않을까 생각 한다”고 말했다. 

제주은행도 혹시 모를 피해를 확인하기 위해 개별상담창구를 마련했고 자금부서는 수시로 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제주은행 관계자는 “화이트리스트가 품목 제한이 있어서 대규모 제조업이 있는 지역이 영향이 있을 것”이라며 “내부에서도 관심을 갖자고 독려하고 있고 컨틴전시 플랜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
송금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