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금융기관 새마을금고는 여·수신 상품 외에 보험과 유사한 ‘공제’를 취급한다. 공제는 새마을금고를 대표하는 상품이다. 상위기관인 새마을금고중앙회도 실적 독려를 한다. 금고들도 때때로 공제행사를 연다. 이를 ‘티엔티’라고 한다.
티엔티는 공제 취급 경험이 적은 금고를 훈련시킨다. 또 실적이 우수한 금고에는 보상이 따른다. 하지만 성과가 곧 평가에 활용되기 때문에 금고 간 경쟁을 야기하고 직원부담을 가중시킨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새마을금고는 티엔티라는 이름의 공제 판매 촉진행사를 한다. 티엔티는 중앙회에 신청한 금고에 한해서만 행사를 할 수 있다. 금고가 원하는 회차에 티엔티를 신청하는 방식이다.
보통 공제실적이 미흡하다고 판단한 금고가 티엔티를 신청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공제는 새마을금고법 상 주요 사업인 만큼 중앙회도 실적을 적극 독려한다. 중앙회에 따르면 공제사업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해당 금고에 마케팅 기법 등을 전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티엔티 기간 각 금고에는 할당이 주어진다. 이 때 발생한 수익은 공제 독려 지원금이나 인센티브 등 형태로 금고에 환원된다.
공제는 한편으로는 금고를 평가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금고 간 경쟁을 야기하는 원인으로도 지목된다. 이로 인해 공제 직원들은 판매 부담을 안고 있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A금고 관계자는 “보험 판매 목표가 있긴 한데 티엔티 행사는 따로 안 한다”며 “티엔티는 말씀드릴 게 없다. (행사) 한다면 부담을 느끼지 않을까”라고 말했다.
행사유치를 꺼리는 경향도 일부 엿볼 수 있었다. 연락이 닿은 서울 소재 몇몇 금고들은 대부분 티엔티를 하지 않거나 계획이 아예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티엔티를 4월에 신청했다는 모 금고 직원은 공제 할당 질문을 하자 대답을 피했다. 청와대 게시판에는 중앙회가 지역금고에 공제 판매를 강요하고 있다는 청원도 등장했다.
이에 관해 중앙회 관계자는 “금고 발전 사업이니까 실적을 독려하고 목표수치를 제시하고 있는 건 맞다”면서도 “평가기준은 되지만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제는 금고와 중앙회 모두에 도움이 되는 상품”이라며 “금고가 있어야 중앙회가 유지되는 구조라 금고에 부당하게 판매를 강요하거나 압박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