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0년 동안 한반도의 폭염일수가 계속 증가했지만 기상청의 대응이 미흡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지난 10년 동안 한반도의 폭염일수가 계속 증가했지만 기상청의 대응이 미흡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4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신창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기상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전국 평균 폭염일수는 지난 2009년 4.2일에서 이번 해(9월 말 기준) 31.5일로 급증했다. 연 최고기온은 33.8도(2009년)에서 38.9도(2018년)까지 상승했다.
그러나 신 의원은 기상청이 폭염 대비 예보 시스템 개선 및 폭염 원인 연구에 소홀했다고 비판했다.
기상청은 지난 10년간 연구개발(R&D) 예산으로 총 9716억원을 투입했지만, 폭염과 관련한 연구예산은 전체의 0.5%인 53억7400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폭염연구센터를 열어, 뒤늦게 중장기 폭염예보 시스템 개발에 나섰다.
신 의원에 따르면 기상청이 발령하는 폭염특보의 일치율(전체 특보 중 맞아떨어진 비율)은 82.1%(2012년)에서 78.1%(2016년)로 떨어졌지만, 기상청은 지난해와 이번 해 자료의 공개를 거부하고 있다.
특보 발령 체계의 개선도 시급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우리나라의 폭염특보는 33도 이상이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령하는 ‘폭염주의보’와 35도 이상이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령하는 ‘폭염경보’ 2가지로 구분된다.
반면 일본 등 다른 나라들은 5일 뒤부터 7일간 평균기온이 특정 기온을 초과할 확률이 30% 이상 예상될 때 열사병주의를 발령하는 ‘이상기후 조기경계 정보’를 운용하는 등 폭염 단기·중기예보를 하고 있다. 영국은 시민들에게 4단계에 걸쳐 폭염 대비신호를 보내고 있다.
신 의원은 “폭염특보를 각 지역의 기상·사회·환경 여건에 따라 연령별·소득 수준별로 나누는 등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도현 기자 dobest@kuki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