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험복합점포 개설대상을 외국계은행 등으로 확대한 정부 방침이 시장에 도움이 되기 보다는 보여주기식 행정이란 지적이 나온다. 지주사 중심으로 점포를 개설하는 국내 여건과 맞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비대면 영업을 강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복합점포가 실질적인 수익으로 이어질지 알 수 없다는 의견이 앞선다.
금융당국은 지난달 말 한국씨티·SC제일 등 외국은행도 보험복합점포를 열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했다. 은행-보험, 증권-보험 등 형태를 허용하고 점포도 최대 5개까지 운영할 수 있게 했다.
외국계은행이 국내에서 보험복합점포를 열려면 보험사들과 업무 계약을 맺는 수밖에 없다. 보험사가 따로 없기 때문이다. 현재 보험복합점포는 은행·증권 복합점포에 보험사 지점이 입점하는 방식으로 도입됐다.
생보업계 관계자는 “외국은행은 금융지주 형태가 아니고 산하에 자회사가 없어 할 수 있는 게 없을 것”이라며 “보험사와 계약을 맺어서 영업점 안에 배치하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을 것이다”고 말했다.
전체 실적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다. 고객 편의를 위해서 이미 정착한 업권을 한 곳에 둔다고 한들 시장 판도를 바꿀 수는 없다는 것. 또한 비용 절감을 위해 점포를 줄이고 비대면 영업을 강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복합점포를 굳이 개설하겠느냐는 지적이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주사 복합점포 10곳을 운영한 지난 2년 동안 판매한 보험건수는 1068건(27억2000만원)에 불과하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실적이 저조한건) 업계가 이미 정착돼있다는 걸 의미 한다”며 “복합점포보다는 권역별 특성을 고려한 활성화 방안을 찾는 게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