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국감] 보톡스 등 미용주사제 시장 1350억원 규모…대부분 비급여

[2016 국감] 보톡스 등 미용주사제 시장 1350억원 규모…대부분 비급여

기사승인 2016-10-10 11:10:25 업데이트 2016-10-10 11:53:28

[쿠키뉴스=조민규 기자] 피부 미용에 좋다며 권하는 '‘미용주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특별한 수술 없이 누워서 주사 하나만 맞으면 주름이 펴지고, 피부도 좋아진다고 해서 의사에게도, 환자에게도 인기가 높다.

최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보톡스와 ‘미용주사’ 시장 비급여 규모를 최초로 집계한 본 결과, 2014년 1300억원대 규모로 4년 새 43%나 급증했다. 또 대부분 전문과목과 상관없이 비급여로 사용되고 있었다.

2014년 보톡스가 690억원으로 절반 이상이었고, 소위 의료기관에서 칭하는 ▲태반주사(192억8000만원) ▲연어주사(92억5000만원) ▲칵테일 주사(81억7000만원) ▲비욘세·아이유주사(72억원) 등의 순이었다. 지방제거(안면윤곽) 주사도 4년 새 2배 급증해 60억원대 규모가 나타났다.

새누리당 김승희 의원은 “이런 주사들의 본래 효능이 미용이나 피로회복과는 거리가 멀다. 일례로 보톡스는 눈가주름 등으로만 허가가 나 있고, 물광주사에 들어간 히아루론산은 관절염 치료 등으로 허가를 받았지만 실제로는 피부에 수분을 공급해주는 미용목적을 위해 쓰이고 있었다”라고 지적했다.

보사연이 의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허가 초과 처방이 상대적으로 환자에게 위해 가능성이 높은가’라는 질문에 절반 이상(53.5%)이 ‘그렇다’고 응답했다. 또 부작용을 경험한 적이 있다는 응답도 13.7%에 달해 의료진도 허가초과 처방에 대해 분명한 문제의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는 의약품 부작용 신고가 지난해만 20만건에 육박해 10년 전인 2006년 2400여건보다 무려 80배 넘게 급증한 상황으로 인구 100만명당 발생건수로는 세계에서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이에 영국 의약품 허가당국인 MHRA, 호주 TGA 등 선진국에서는 허가 초과 사용에 관한 가이드라인 마련하고 있으나 우리는 인구 천 명 당 미용시술 건수가 10.7건으로 세계 최고임에도 가이드라인이 없다.

이에 김승희 의원은 “허가 초과 사용이 불법은 아니지만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면, 미용주사제 허가 초과 사항에 대해 가이드라인, 만들어야 한다”라며 “허가 초과 사용은 예기치 못한 부작용을 겪을 수가 있다. 환자들도 지금 사용되고 있는 그런 주사제가 허가를 초과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리고 전문가들이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제언했다.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