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은 제1위원장 “먼저 핵무기 사용 안 해”
[쿠키뉴스=조민규 기자] 북한이 핵보유국으로서의 입지확보에 나서고 있는 모양새다.
연합뉴스는 조선중앙통신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을 인용해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공화국(북한)은 책임 있는 핵보유국”이라고 선언했다고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김 제1위원장은 지난 6∼7일 이틀에 걸쳐 열린 노동당 7차 대회 중앙위원회 사업총화(결산)보고에서 “침략적인 적대세력이 핵으로 우리의 자주권을 침해하지 않는 한 이미 천명한대로 먼저 핵무기를 사용하지 않을 것”이라며 “핵 전파방지의무를 성실히 이행하고, 세계 비핵화 실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또 “전쟁이 없는 평화로운 세계를 건설하는 것은 우리 당의 투쟁목표이며, 지역과 세계의 평화와 안전을 위하여 투쟁하는 것은 우리 당과 공화국 정부의 일관한 입장”이라며, “조국의 자주적 통일을 기어이 이룩하려는 것은 조선노동당의 확고한 결심이며 의지로 조국통일3대헌장을 일관하게 틀어쥐고 통일의 앞길을 열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조국통일 3대 헌장’은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에서 제시된 조국통일 3대 원칙, 1980년 10월 제6차 당대회에서 제시된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 1993년 4월 최고인민회의 제9기 제5차 회의에서 제시된 ‘전민족대단결 10대 강령’을 가리키며, 북한은 이 용어를 지난 1997년부터 공식적으로 사용해오고 있다.
특히 남북관계와 관련해 “현재 절박한 문제는 북남관계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것으로 북과 남은 서로 상대방을 존중하며 통일의 동반자로서 함께 손잡고 북남관계개선과 조국통일운동의 새로운 장을 열어나가야 한다”고 강조하고, “조선 노동당은 앞으로도 온 민족의 요구와 이익에 맞게 북남관계를 개선하고 자주통일을 앞당겨나가는 데서 자기의 숭고한 사명과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남조선 당국은 동족대결관념을 버리고 상대방을 대하는 태도부터 바로 가져야 한다”며 “북과 남의 화해와 단합에 저촉되는 각종 법률적·제도적 장치들을 없애버리고, 관계발전에 유익한 실천적 조치들을 취해야 한다”며 우리 정부에 노력을 요구했다.
반면 “인민군대는 공화국을 반대하는 미제와 남조선 호전세력의 무모한 전쟁도발책동에 대처해 고도의 격동태세를 견지하며, 적들이 전쟁의 불을 지른다면 침략자들을 무자비하게 징벌하고 조국통일의 역사적 위업을 이룩해야 한다”고 지시하기도 했다.
한편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는 이 자리에서 인민경제 발전을 위해 국가경제발전 5개년전략을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철저히 수행해야 한다고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제1비서는 “경제사업에 대한 국가의 통일적 지도와 전략적 관리를 책임적으로 해야 한다“며 ”사회주의 강국건설은 오늘 우리가 선차적으로 점령해야 할 중요한 목표로 과학기술 부문에서 첨단돌파전을 힘 있게 벌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일부 전문가들은 국민들에게 희망을 주기 위한 제스처로 오히려 5개년 전략 실현을 촉구하다 북한 주민들의 반발을 살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kioo@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