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군민의 숙원사업이었던 합천문화예술회관 건립사업에 제동이 걸렸다. 합천호텔 사건으로 재정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에 집중호우로 인한 수해 극복 상황에 처해 있어 어렵게 됐다.
합천군의회는 19일 열린 제292회 임시회 제1차 복지행정위원회 회의에서 '2025년 공유재산 관리계획(정기분 변경안) 합천문화예술회관 건립사업안을 부결했다.
합천문화예술회관 조감도 60%가량 늘어난 건립 비용이 발목을 잡았다. 애초 합천문화예술회관 신축사업은 합천읍 합천리 155-18번지 일대 1만 3540㎡의 터에 건축면적 2692㎡, 전체면적 4265㎡의 규모로 계획됐다. 총사업비 310억 원을 들여 지하 2층, 지상 2층 규모로 건설할 예정이었다. 군은 2024년 기본 및 실시설계를 완료하고 2025년 착공해 2026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했다.
하지만 사업 추진 과정에 건물 전체면적은 기존 4181㎡에서 4954㎡로 확대됐고, 설계도 기존 지하 2층·지상 2층에서 지하 1층·지상 3층으로 변경됐다.
이에 따른 전체 공사비도 대폭 늘어났다. 군이 군의회에 제출한 보고서에 따르면 총사업비는 495억 원으로 애초 사업비보다 182억 원(59%) 증가했다.
군은 설계 변경과 친환경 인증 요건 반영에 따른 것이며 무엇보다 물가 상승으로 말미암은 건설 자재와 노무비 상승이 가장 큰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군의회는 증액된 비용이 부담스러울 뿐 아니라 시기가 적절치 않다고 판단했다.
성종태 복지행정위원장은 "필요한 사업이라고 하지만 규모가 확대되고 비용이 대폭 증가한 것에 전체 군민이 동의할지 의문"이라며 "원점에서 다시 재검토가 필요하다. 적합한 규모와 적절한 시기에 시작돼야 하며 대부분 군민이 동의하는 내용이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합천호텔 사건으로 재정적으로 불안정한 상황에 무리를 해서는 안 된다"며 "지금은 지역의 수해 극복 상황에 더 집중해야 할 때다. 현 시점에서는 재원과 행정 역량을 수해 복구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시민사회단체도 부정적인 의견을 밝혀왔다. '참여와 자치를 위한 함께하는 합천' 고동의 사무국장은 "지금 합천군에 필요한 것은 새 건물이 아니다. 피해 복구와 군민 생활 안정이 최우선"이라며 "이미 지어진 시설들의 관리와 활용도를 높이는 일이 먼저다. 수백억 원대 건물만 줄줄이 짓다가 유지·관리도 못 하고 방치되는 일이 반복된다면, 피해는 고스란히 군민의 몫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사업 추진에 제동이 걸리면서 합천군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다.
이성태 문화예술과장은 "7년 동안 준비했다. 착공을 위해 터를 사들이고 도의 승인을 밟아 차곡차곡 준비했지만 시의회에서 부결돼 안타깝다. 이로써 사업은 중지될 수밖에 없다"며 "이후 어떻게 대책을 마련할지 신중한 검토와 고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