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6·27 가계부채 대책 발표 영향이 계속되면서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폭이 3주 연속 축소됐다.
18일 한국부동산원의 ‘2025년 7월 둘째 주(14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0.19% 상승했다. 전주(0.29%) 대비 0.1%p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 가격은 6월 다섯째 주(6월30일 기준) 이후 3주째 상승세가 둔화하고 있다.
강남3구가 포함된 동남권은 0.37%에서 0.26%로 상승폭이 낮아졌다. 강남구는 0.15% 상승해 전주(0.34%)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서초구(0.48%→0.32%), 송파구(0.38%→0.36%)도 상승폭이 줄었다. 강동구 역시 0.29%에서 0.22%로 가격 상승폭이 축소됐다.
성동구는 0.45% 상승해 전주(0.7%) 대비 상승폭이 감소했다. 마포구(0.6%→0.24%), 용산구(0.37%→0.26%)도 상승세가 약화됐다. 양천구(0.55%→0.29%), 영등포구(0.45%→0.26%)도 상승폭이 줄었다.
한국부동산원은 “일부 신축‧역세권 단지 등에서는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매수 관망세가 심화하면서 거래가 감소하는 등 전체 상승폭이 축소됐다”고 분석했다.
전국 매매 가격도 0.02% 상승해 전주(0.04%) 대비 상승폭이 줄었다. 수도권 매매 가격은 0.07% 올라 전주(0.11%) 대비 상승폭이 감소했고, 지방은 0.02% 하락해 전주(-0.03%) 대비 하락폭이 축소됐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02% 상승해 전주(0.01%) 대비 상승폭이 0.01%p 올랐다. 수도권 전세 가격은 0.03% 올라 전주와 동일한 상승폭을 유지했다. 지방(-0.01%→0.00%)은 보합 전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