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유수인 기자 = 의료계 집단휴진을 하루 앞둔 13일 오후 2시 기준 전국 의원급 의료기관의 휴진 신고율은 24.7%로 집계됐다. 휴가철임을 고려했을 때 휴진율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보건복지부가 이날 발표한 의원급 의료기관 사전 휴진신고 현황을 보면, 전국 3만 3836개소 중 24.7% 수준인 8365개소가 휴진 신고를 했다.
전날 오후 2시 기준으로 3만 3031개 의료기관 가운데 7039곳(21.3%)이 휴진 신고를 한 것에 비하면 하루 만에 3.4%p 높아졌다. 참고로 전날 조사에서 전체 의료기관 수가 적었던 것은 일부 시도의 자료가 누락됐기 때문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집단휴진이 예고된 14일 당일 휴진율은 휴가철 임을 고려할 때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병원급 의료기관 중에서 휴진 신고를 한 곳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대한의사협회는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확대, 공공의대 설립, 한방첩약 급여화, 비대면 진료 육성 방안 등의 정책을 철회할 것을 요구하며 14일 집단휴진에 나선다. 응급실과 중환자실, 투석실, 분만실 등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필수진료 종사 인력은 참여하지 않는다.
정부는 휴진하는 의료기관이 많아 환자 진료나 치료 등에 피해가 예상되는 경우 해당 지역의 보건소가 업무개시 명령을 발동하도록 조처했다.
박능후 복지부 장관은 이날 담화문 발표를 통해 “의사협회의 집단휴진 과정에서불법적인 행위로, 환자의 건강과 안전에 위해가 생긴다면 법과 원칙에 따라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어떤 경우에도 국민의 생명이 위협받아서는 안 되며, 특히, 아픈 환자들에게 피해가 생겨서는 안 될 것이다. 의사협회도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최우선으로 하는 숭고한 소명을 다시 한 번 기억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