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우리금융그룹 앞에 놓인 과제가 산더미다. 우선 비은행 부문 확장에 제동이 걸렸다. 이를 해결하려면 지주 자기자본비율이 개선돼야 한다.
우리은행은 해외금리연계 파생상품(DLF) 부실사태를 수습해야 한다. 은행 측은 피해자 보상에 집중하면서 제도적 보완대책을 마련했다.
◆지주 자기자본비율 내부등급법 승인 후 M&A 재개=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지주는 ‘종합금융그룹’을 목표로 연초부터 비 은행 인수합병(M&A)에 주력해왔다. 올 들어 자산운용사와 부동산 신탁회사를 품었다.
그러다 최근 기세가 움츠러들었다. 비은행 부문을 더 강화하려면 위험가중자산(RWA) 평가 방식을 내부등급법으로 바꿔 자기자본비율을 개선해야 해서다. 자기자본비율은 자기자본을 RWA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해 구한다.
우리금융지주는 RWA산출방식으로 표준등급법을 따르고 있다. 표준등급법은 업계 평균데이터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RWA가 많이 산출된다. 따라서 자기자본비율을 축소시킨다. 공시를 보면 우리금융지주 자기자본비율은 올 6월 말 기준으로 11.10%로 금융감독원 권고기준(11.50%)에 다소 못 미친다.
반면 내부등급법은 자체 신용평가시스템에서 나온 요소를 활용하기 때문에 RWA를 낮춘다. 이럴 경우 자본비율이 상승, 인수합병 여력이 커진다. 이달 초 당국으로부터 내부등급법 승인을 받은 우리은행은 자기자본비율이 6월 말 기준 14.56%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올해는 BIS비율 이슈 때문에 약간 속도조절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면서도 “신종자본증권 등을 발행해 자기자본비율이 꽤 올라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시장에 괜찮은 매물이 나와야 해서 여유를 두고 지켜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우리銀, DLF사태 수습에 ‘구슬땀’ =한편 우리은행에서는 DLF 사태에 모든 책임을 지고 피해자 구제에 총력을 기울이는 분위기다. 우리은행은 최근 투자숙려제도 도입을 검토하는 등 피해자 구제와 손실 재발을 막기 위해 분주하다. 제도를 도입하려면 운용사와 금융당국과 협의가 필요한 것으로 전해진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DLF 때문에 바쁘다”며 “가장 중요한 이슈라 담당 직원들이 가이드라인을 디테일하게 만들고 있다”고 내부 상황을 전했다.
그러면서 “투자숙려제도와 고객철회제도 검토를 해보겠다는 것”이라며 “공모펀드는 현재 도입했는데 사모펀드는 운용사랑 협의를 거쳐 도입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