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예대금리 차(예대마진)가 은행권 최고 수준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예대마진은 대출금리에서 예금금리를 뺀 것이다. 예대마진이 클수록 금융기관 수입은 늘어나게 된다.
25일 더불어민주당 이학영 의원실은 금융감독원 및 케이·카카오뱅크로부터 받은 자료를 토대로 케이뱅크 예대마진이 시중은행과 인터넷전문은행 통틀어 가장 크다고 주장했다.
올 2분기 신한·KB국민·우리·KEB하나 등 4대 은행 예대마진은 1.75%p~1.96%p다. 카카오뱅크 7~8월 예대마진은 각각 1.76%, 1.73%다. 케이뱅크는 2.5%로 이들보다 높았다.
이 의원은 “인터넷은행 출범 목적은 금융소비자 충족과 대한민국 금융서비스 수준 발전이지 은행 폭리형 수익 창출이 아니다”며 “국정감사에서 이 문제를 제기하고 당국 조사를 받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케이뱅크 측은 자료를 내고 입장을 해명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중금리 상품을 활성화하고 요구불예금 비중도 일정 수준 유지하는 등 여·수신 포트폴리오를 효율적으로 운영해 적정 수준의 예대금리 차를 유지하고 있다”며 “(제시된) 예대마진은 여수신 상품별 가중평균이 반영된 수익·비용률 개념으로 고객이 체감하는 금리와는 다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출평균 금리가 올랐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시중은행 대비 낮은 수준을 유지해오다가 직장인K 신용대출을 중단하면서 지난달부터 평균금리가 오르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