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민영화’ 꿈꾸는 우리은행…잔여 지분매각 올해 성사될까

‘완전민영화’ 꿈꾸는 우리은행…잔여 지분매각 올해 성사될까

기사승인 2017-06-02 05:00:00 업데이트 2017-06-02 07:06:22

[쿠키뉴스=송금종 기자] 정부(예금보험공사)가 소유한 우리은행 잔여 지분 매각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매각대상은 예보가 소유한 우리은행 지분 21.37% 중 18.40%다.

이런 주장은 최근 은행 주가가 공적자금 회수 안정권에 놓인 상황에서 ‘골든타임’을 놓쳐선 안 된다는 이유에서 나왔다. 이 시기를 놓치면 그에 따른 리스크를 감당해야 하고 우리은행 ‘완전민영화’ 꿈도 멀어진다.

당국은 여건만 조성되면 언제든 매각 작업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현재로선 논의만 오고갈 뿐 시기와 방법이 정해지지 않아 조기 매각을 단정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희망수량 경쟁 입찰 방식을 우선 채택하고 남은 물량은 블록세일을 추진하려는 것으로 알려졌다.

희망수량 경쟁 입찰은 입찰자가 인수 희망가격과 수량을 써내면 매각 수량에 도달할 때까지 최고 가격을 써낸 사람 순으로 지분을 낙찰하는 방식이다. 여기에 ‘빠른 시일 내 최대한 매각’이라는 목표를 세웠다.

매각 작업은 여러 가지 변수를 앞두고 있다. 우선 공석인 금융위원장이 선임되면 논의될 전망이다. 또한 윤창현 공적자금관리위원장 임기는 오는 9월 끝난다. 공자위가 새로 꾸려지면 매각일은 9월 이후가 될 가능성이 높다.

주가추이도 고려해볼 수 있다. 주가가 지금보다 더 오르면 매각 작업에도 속도가 붙을 수 있다. 우리은행 주가는 공적자금 원금 회수 기준인 1만4300원을 웃돌고 있다. 1일 종가기준 주가는 1만5350원으로 1000원 이상 높게 거래되고 있다.

하지만 주가가 떨어질 경우를 대비해서라도 매각계획을 구체화해야 하는 실정이다. 매각 시기를 놓치면 그 리스크는 고스란히 공자위가 안게 된다. 우리은행 민영화도 미뤄지게 된다.

예보 관계자는 “매각을 검토하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방식이나 시기 등이 정해지지 않았다”면서도 “주가가 지난해 이후 올랐고 원금 회수 수준을 넘어서서 여건은 그런대로 괜찮은 편이다”고 평가했다.

우리은행은 지분 매각 성사를 위해 실적과 건전성 관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대해 우리은행 관계자는 “지분매각이 빨리 됐으면 하는 바람이지만 당국에서 지침이 나오지 않아 지켜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song@kukinews.com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
송금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