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협 등 상호금융 또 말썽…‘비리온상’ 해법 없나

신협 등 상호금융 또 말썽…‘비리온상’ 해법 없나

기사승인 2017-03-23 05:00:00

[쿠키뉴스=송금종 기자] 신협과 지역 농·축협이 다시 말썽이다. 한동안 잠잠했던 금융비리가 또 드러나면서 ‘비리온상’이라는 타이틀을 이어갔다. 업계에서는 상호금융조합의 금융비리 원인으로 느슨한 관리실태를 꼽고 있다. 하지만 중앙회와 감독 당국은 조합개수가 많다는 걸 앞세운다.

2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울산축협은 최근 동일인 대출한도 규제 위반으로 임원 3명과 직원 9명이 최근 주의를 받았다. 또한 장안 신협은 지난해 3월 결산에서 순자본비율을 잘못 표기하고 비조합원 500여명에게 한도를 초과해 대출해준 사실이 적발돼 임원 1명이 주의 조치됐다.

지역 조합들의 금융비리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지난달에도 목동신협과 성환농협, 서천서부수협이 실명제 위반과 사적 금전대부 등의 사유로 징계를 받았다.

조합들의 부당한 행위를 바로잡기 위해 중앙회와 금감원이 검사를 강화하고 있지만 실상은 나아지지 않았다. 느슨한 관리실태가 조합의 비리를 키우는 원인으로 지목된다. 조합은 개별 법인이기 때문에 중앙회 간섭이 덜한 편이다. 이렇다보니 중앙회는 조합의 위규사실이 발견돼도 내용조차 모르거나 늑장 대응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해 중앙회와 금감원은 지역 조합이 많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금융비리가 심각하게 비춰지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지역조합은 전국에 3000개 이상 포진해있다.

금감원 상호금융검사국 황남준 부국장은 “조합이 시중은행 지점보다 많기 때문에 비리가 심하게 보일 수 있다”며 “조합 비리는 예전보다 개선되고 있다”고 평했다.

금감원 또 다른 관계자는 “지역 조합이 많다보니 보고를 했어도 잘못 처리되거나 누락되는 가능성도 있을 것이다”며 “검사를 잘 안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신협중앙회 관계자도 “조합이 전국에 900개가 있다보니 적발이 많게 느껴지는 부분이 있다”며 “제도나 법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지만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해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song@kukinews.com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
송금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