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송금종 기자] ‘민영 우리은행’이 힘차게 돛을 올렸지만 출발이 시원찮다. 31일 사모펀드 IMM PE에 대한 우리은행 주식양도와 대금수령을 끝으로 예금보험공사(예보)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 30%가 민간에 넘겨졌다. 하지만 잔여 지분 21%가 발목을 잡고 있어 성공이 절반에 그쳤다는 평이다.
과점주주라는 새로운 지배구조를 채택한 우리은행이 민간은행으로서 완전한 자율경영을 보장 받으려면 현재 남은 지분 처리가 급선무다. 이번 매각으로 예보의 우리은행 보유 지분이 상당 부분 줄었어도 예보가 최대주주로 남아있는 이상 우리은행이 정부 입김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기 때문이다.
당국은 잔여 지분 매각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내놓지 않고 있다. 투입된 공적자금을 100% 회수하려면 우리은행의 주가가 올라야 하는데 현재 남은 금액을 충당하기에 주가가 너무 낮아서다. 공적자금을 모두 회수하려면 주가가 적어도 1만5200원 이상은 돼야한다. 31일 우리은행 주가는 1만3000원선이다. 이 상태로 지분매각을 강행하면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원칙에 위반되고 헐값매각 시비로까지 번질 수 있다.
당국은 우리은행 주가가 오르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주가가 오르고 여건만 허락된다면 당장 올해라도 매각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민간이 가지고 있는 지분이 예보보다 많기 때문에 사실상 민영화가 됐다고 보고 있다”며 “우리은행 기업가치 추이를 보면서 공적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수준까지 올라가면 추가적인 매각을 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하지만 정부의 이런 방안이 크게 와닿지 않는다. 민영화를 위해 공들인 시간이 무려 15년이다. 그간 5번의 도전이 있었고 지난해 겨우 매각을 성사시켰다. 이 또한 지분을 쪼개파는 방식이 통해 가능했던 일이다. 남아있는 지분을 처리하려면 또 그만큼의 시간과 비용을 감수해야 할지도 모른다. 지분 매각이 완전히 이뤄지지 않으면 민영화 달성 의미도 사라지게 된다.
우리은행이 민간은행으로 거듭나려면 자체 몸값을 올리려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그 전에 정부가 의지를 가지고 잔여지분 매각에 힘을 쏟아야 한다. 언제, 누구에게, 얼마나 팔 것인지 등의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공적자금 회수율이 80%를 넘어선 게 다가 아니다. 공든 탑도 무너질 수 있다는 걸 명심해야 한다.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