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과학]](https://kuk.kod.es/data/kuk/image/2025/07/07/kuk20250707000008.300x169.0.jpeg)
[쿠키과학] "항암제 내성 회복방법 찾았다"… KAIST, '항암제 내성 유전자표적 예측 방법론’ 개발
암세포의 약물 내성은 항암제가 치료 효과를 잃는 주원인이다. 약물 내성은 암세포의 대사가 변화하면서 생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포 대사는 감염병, 퇴행성질환 등 다양한 난치성 질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학계는 약물 내성 암세포의 대사를 민감 상태로 되돌리면 약물 효과가 돌아온다는 가설에 따라 다양한 생물학 정보를 활용해 내성 암세포에서 발현된 유전자나 단백질을 분석했다. 그러나 세포 대사는 수많은 유전자와 단백질들이 복잡하게 상호작용하는 시스템으로, 단순히 약물 내성 암세포에서 유의하게... [이재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