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겨누는 김건희 특검, 수사 확대 의견서 접수

금융당국 겨누는 김건희 특검, 수사 확대 의견서 접수

기사승인 2025-07-17 17:41:32
김건희 여사. 연합뉴스 

김건희 여사의 주가조작 연루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금융당국 및 공공금융기관에 대한 수사가 필요하다는 의견서를 받고 검토 중이다.

17일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의원실에 따르면, 김 의원은 최근 민중기 특검 사무실을 방문해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수사 확대 요구’ 의견서를 제출했다. 의견서에는 삼부토건을 포함해 DYD, 웰바이오텍 등 복수의 주가조작 사건이 시세조종을 넘어 “정권 실세의 사익을 위해 금융감시기관과 공공금융기관이 동원됐거나 제 기능을 하지 않은 전대미문의 권력형 금융범죄일 수 있다”는 취지가 담겼다.

특히 김 의원은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인 이른바 ‘집사 게이트’를 집중 거론하며 한국증권금융과 산업은행에 대한 조사를 요구했다. 김 여사 측근으로 알려진 김예성씨가 대주주로 참여한 IMS가 2023년 신한은행, 한국증권금융, 키움증권 등 유수의 금융사와 대기업으로부터 184억원의 투자를 받고, 이 가운데 차명회사를 통해 46억원어치의 지분을 매각해 수익을 챙겼다는 의혹이다.

김 의원은 의견서에 한국증권금융이 △2015년 두 차례에 걸쳐 85억원 상당의 IMS모빌리티 사모사채를 인수 △2019년 97억원과 187억원 규모의 사모사채를 각각 인수 △2023년 오아시스에쿼티파트너스가 조성한 IMS모빌리티 투자 펀드에 50억원 투자 등 사례를 담았다. 산업은행에 대해서도 △2017년 11월 IMS모빌리티가 발행한 전환상환우선주를 매입해 지분투자 △2019년 복합대출상품을 통해 3년 만기 일반대출 24억원과 신주인수권부사채(BW) 5억원 등 29억원의 자금 지원 등 사례를 담았다.

김 의원은 “이는 단순한 자본거래가 아니라 공공금융기관이 제도적 외피를 제공한 것”이라며 “한국거래소와 금융당국은 감시를 못 한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기능을 멈췄다는 의혹이 있다. 이는 특검이 규명해야 할 문제”라고 주장했다.

이에 특검팀은 김 의원의 의견서를 전달받고 “잘 살펴보겠다”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특검은 한국증권금융의 윤창호 전 사장을 불러 IMS모빌리티에 대한 투자 경위를 조사했다.

최은희 기자
joy@kukinews.com
최은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