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인도네시아의 상호관세를 32%에서 19%로 인하하는 무역 합의를 타결했다고 밝혔다.
15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트루스소셜에 “오늘 아침 저는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존경받는 대통령 프라보워 수비안토와 회담을 마치고 중요한 협정을 최종적으로 체결했다”고 적었다.
이어 그는 “이 역사적인 협정은 인도네시아 전체 시장을 미국에 처음으로 개방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네시아는 미국으로 수출하는 모든 상품에 대해 19%의 관세를 납부하게 되며, 미국의 인도네시아 수출품은 관세와 비관세 장벽 없이 수출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의 목축업자와 농부, 어부들은 인구 2억 8000만 명이 넘는 인도네시아 시장에 처음으로완전하고 전면적인 접근 권한을 갖게 됐다”고 주장했다.
트럼프는 이번 협상이 인도네시아 정상과 ‘톱다운’ 방식으로 진행됐다는 점도 강조했다. 그는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매우 존경받는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과의 대화를 통해 중요한 협정을 확정했다”며 “이 역사적 협정으로 미국은 처음으로 인도네시아 전체 시장에 진출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트럼프는 또 “인도네시아 국민 여러분의 우정과 무역 적자 균형을 위한 헌신에 감사드린다”면서 “우리는 미국 국민과 인도네시아 국민을 위해 계속해서 성과를 내겠다”라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8월 1일부터 인도네시아에 32%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는 서한을 보낸 바 있다. 이는 지난 4월 2일 처음 발표한 것과 같은 관세율로 이번 협정으로 이를 19%로 낮췄다.
트럼프는 이날 오후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로 떠나기에 앞서 백악관에서 취재진과 만나 “그들(인도네시아)은 (관세로) 19%를 내고, 우리는 아무것도 내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들은 인도네시아에 대한 완전한 접근권을 제공할 것”이라면서 “인도네시아는 매우 가치 있는 광물과 다양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아시다시피 그들은 매우 높은 품질의 구리로 유명하다. 우리는 이 구리를 사용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인도네시아는 미국의 23번째 주요 무역 파트너로 미국은 지난해 인도네시아로부터 280억 달러 규모의 상품을 수입했다. 가장 많이 수입한 품목은 의류와 신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