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시 '스마트 구난시설 길 안내 서비스' 시행…전국 최초로 자동심장충격기, 인명 구조함 등 위치 정보 제공
구난시설 설치 주소 정보 활용으로 행정의 효율성 극대화 기대
시 자체 개발로 예산 절감과 구난시설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
시민을 포함 소방과 치안, 안전관리기관 등에 서비스 제공
기사승인 2025-05-08 10:56:34 업데이트 2025-05-08 19:28:50
김해시가 전국 처음으로 지역 내에 설치한 자동심장충격기와 인명 구조함, 비상소화장치들이 어디에 있는지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스마트 구난시설 길 안내서비스'를 시행한다.
이 서비스는 주소 정보를 활용해 위기에 처한 시민의 생명을 구하고 행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길을 가다 갑작스럽게 심정지가 발생한 시민의 경우 자동심장충격기가 시내 어느 곳에 있는지 정확한 위치를 몰라 '생명의 골든타임'을 놓치는 문제점을 근원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선진행정'으로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구난시설 길 안내 서비스'를 자체 개발한 시는 시민은 물론 소방이나 치안, 안전관리 기관에도 이 서비스를 제공해 시민의 소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도록 했다. 시는 이 서비스를 12일부터 운영한다.
이 서비스는 재난과 구난장비가 시내 어느 곳에 있는지를 정확한 위치 정보를 카카오 맵 길안내서비스로 URL을 통해 안내하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에는 심정지나 익수자, 화재 등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119상황실에서 현장에 대응할 수 있는 자동심장충격기나 인명 구조함 등의 위치를 지번이나 도로명 주소로 안내해 인명을 구조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렸다.
하지만 이번에 시가 개발한 각종 시설물(1050여 개소)의 길 안내 URL을 활용할 경우 119 상황실에서 해당 시민의 스마트폰으로 구난시설물의 정확한 위치를 자동으로 실행하는 URL을 발송하면 당사자는 간단한 터치 한번으로 자동심장충격기와 인명 구조함이 있는 곳을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이 서비스는 재난이나 구조가 필요한 위기에 처한 시민을 살려내고 행정 내부적으로는 구난 시설물 위치나 활용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설 배치나 유지 보수 체계 구축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