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영상] 갑작스럽게 큰돈이 필요할 때 우리는 은행의 대출을 생각합니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이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죠.
개인의 신용도에 따라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금액이 달라지고 이자율도 달라집니다. 이때 개인의 신용도를 측정하는 지표가 신용 점수인데요.
사용자가 빌린 돈을 갚을 의사가 있는지, 갚을 능력이 있는지 신용평가기관이 점수를 매깁니다. 이를 위해 금융기관, 공공기관에서 개인의 신용거래 내역 및 정보를 수집하죠.
개인의 신용 점수는 두 개입니다. 신용 점수를 체크하는 신용평가사가 KCB와 나이스 두 곳이기 때문인데요.
각 평가사에서 신용을 볼 때 중요하게 보는 항목과 비중이 다릅니다. KCB는 빌려 쓰는 돈이 어느 수준의 위험성을 가졌는지를 가장 중요하게 봅니다. 대출의 경우 금리가 높을수록 위험하다고 보고 있죠.
예컨대 신용카드를 쓰는 건 좋지만, 할부나 현금서비스를 많이 사용했다면 신용이 불안정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리스크를 감수하고 돈을 빌릴수록 신용이 위험하다고 보는 것이죠.
나이스는 밀리지 않고 꾸준히 빚을 갚을 수 있는지를 중요하게 봅니다. 대출이 많아도 연체가 없다면 신용점수가 높을 수 있습니다.
금융사에서는 두 기관에서 모두 정보를 받아 대출이나 카드를 발급을 해주고 있습니다. 따라서 어느 한쪽만 관리할 것이 아니라 두 곳 모두의 신용점수를 관리해야 합니다.
신용점수가 낮으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데요. 같은 금액의 돈을 빌리더라도 신용점수가 낮은 사람이 더 많은 이자를 냅니다.
최저금리로 1억원을 빌렸을 때와 법정최고금리인 20%로 빌렸을 때의 이자 차이가 무려 1700만원에 달합니다. 신용점수 관리만 해도 명품 가방 1개를 살 돈이 생긴다는 말이 여기서 나온 거죠.
그렇다면 신용점수는 어떻게 높일 수 있을까요? 첫째, 신용카드 한도액을 최대 한도액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한도를 꽉 채워서 사용한다면 여윳돈이 부족한 사람이라고 평가해 신용에 나쁜 영향을 줄 수도 있습니다.
둘째, 신용카드를 해지할 땐 최근에 발급한 것을 해지하는 게 좋습니다. 오래된 신용카드는 그만큼 갚아온 이력이 있기 때문인데요. 카드를 해지하면 이력까지 사라집니다. 오래된 신용카드는 가능하면 버리지 않는 것을 추천합니다.
마지막으로 체크카드를 월 30만원 이상으로 6개월 이상 꾸준히 사용하거나 6개월에서 12개월동안 꾸준히 사용하면 최대 40점의 가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클로징] 한번 떨어진 신용점수를 회복하는 데 오랜 시간 소요되니 잘 관리해 유지하는 게 중요합니다.
다음 화는 더욱 알찬 영상을 들고 오겠습니다.

치료법 제한적인 유전성망막병증…“진단 받아야 희망도 있다”
“진단만 받는다면 희망은 있습니다.” 윤창기 서울대학교병원 안과 교수는 최근 쿠키뉴스와 가진 인터뷰에서 유전성망막병증 진단의 중요성을 이같이 강조했다. 그는 “유전성망막질환은 치료 방법이 많지 않아 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