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키뉴스] 송금종 기자 = 금융감독원 종합검사가 또 연기됐다. 코로나19 확산과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강화에 대한 조치다. 이에 관해 사모펀드 사태로 검사가 확정된 은행들은 무덤덤한 반응이다. 검사 시기만 늦어질 뿐 달라질 게 없기 때문이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달 시행 예정이던 금융회사 종합검사 일정이 다시 연기됐다. 구체적인 일정은 잡히지 않았다. 앞서 금감원은 코로나19 재확산 우려로 검사 일정을 지난달 말로 연기했다.
윤석헌 원장은 “코로나19 확산과 거리두기 2.5단계 격상에 부응하기 위한 것”이라며 “추가 조치는 앞으로의 전개를 보고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종합검사는 일반적인 부분검사와 다르다. 부분검사는 가령 ‘가계대출 현황’처럼 주제가 있다. 반면에 종합검사는 경영 전반을 훑기 때문에 광범위하다. 소비자 보호·금융거래질서 확립, 금융시스템 리스크 대응, 지배구조·내부통제 실태 등을 점검한다.
따라서 투입 입력도 많다. 금감원은 올해 6000명 이상을 투입해 검사를 진행할 방침이다. 집합제한 명령과 더불어 전국적으로 거리두기가 강화됐는데 검사를 단행하면 방역에 해가 될 수 있는 만큼 원활한 검사를 위해 일정을 미루자는 게 내부 판단이다.
올해 첫 시행되는 검사인만큼 피검기관이 누가 될지 관심이 모인다. 앞서 금감원은 은행(3)·금융지주(3)·증권사(3)·생명보험(3)·손해보험(3)·여신전문금융사(1)·자산운용(1) 등 16개 금융사를 대상으로 한 검사계획을 밝힌 바 있다.
은행권에서는 지난해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이 검사를 받았다.
올해는 환매 중단된 사모펀드 판매사 불완전판매 여부가 주요 타깃이 될 전망이다. 금감원은 이와 관련해 사전에 각 은행에 자료를 요청했다.
해당 은행들은 검사 연기에 무덤덤하다. 당국이 결정할 부분이어서 검사는 언제해도 상관 없다는 반응이다. 이들은 다만 검사 결과로 인한 후폭풍을 우려하는 분위기다.
금융권 관계자는 “코로나19 때문에 검사일정을 미루는 게 당연하다”며 “검사기간이 길어서 부담인 건 사실이지만 피감기관이기 때문에 선택권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사모펀드 사태가 워낙 시끄러워서 그 부분을 더 보지 않겠느냐”며 “이번 검사는 예민한 사안을 점검하는 것이라 당국 발표 내용을 보고 금융사도 조치해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