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녹색금융은 지난 2009년 이명박 정부가 시도했던 신 성장전략이다. 대통령 직속 ‘녹색성장위원회’가 정책을 주도했다. 금융권도 정부 입맛에 맞는 상품을 출시하기에 바빴다.
이렇다보니 초창기 녹색금융은 철저히 상품 위주 정책이었다는 게 업계 평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MB정권 때 녹색금융은 거의 상품 위주였다”며 “친환경에너지, 태양광 발전 관련 대출상품이 있었는데 지금은 쏙 들어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요즘은 친환경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이 많아서 ‘녹색’이라는 타이틀로 상품이 나갈 필요가 없고 그 기업특성에 맞는 상품이 나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다 정권이 바뀌면서 금융기관들은 상품 출시를 중단했다. 녹색금융협의회 활동도 급격히 위축됐다. 현재 남아있는 포털사이트는 유명무실해진 상태다.
11년이 지나 문재인 정부로 넘어 오면서 ‘녹색금융’이 다시 부활신호탄을 쏜다.
정부가 최근 발표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을 보면 녹색금융은 ▲기업 환경오염 방지 투자 등을 위한 융자 1조9000억 원 ▲녹색기업 육성을 위해 2150억 원 규모 민관 합동펀드 조성을 주업으로 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그러나 모두 MB정권이 추진해온 내용들이어서 큰 변화를 체감하기 어렵다는 반응이 나온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MG정권 녹색금융과) 아직은 큰 차이를 알 수 없다”며 “금융정책은 여신이 전부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환경보호와 일자리 창출을 잘하는 기업을 위한 금융지원에 초점을 둘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정부도 ‘재탕’ 논란이 없도록 고심할 것이고 정책이 나오면 금융기관들도 따라서 움직일 것”이라고 귀띔했다.
또다른 은행 관계자는 “모든 금융기관들이 마찬가지겠지만 친환경 에너지 지원을 하고 있으니까 녹색금융에 맞는 추가 조치를 강구하라면 정책에 발맞춰서 하는 게 순리일 것”이라고 밝혔다.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