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송금종 기자 = 오늘(25일)은 6·25전쟁 70년이 되는 날이다. 쿠키뉴스는 각종 사료와 기록물을 근거로 동란 전후 우리 금융·경제 모습들을 들여다본다.
◇금융거래 중심은 은행…휴전 후 증권거래 시작
6·25가 발발한 1950년부터 60년대를 일컬어 ‘개발금융시대’라고 한다. 당시 금융거래는 은행 중심이었다. 금융위원회 금융연표에 따르면 1949년부터 1959년까지는 일반은행이 4개(조흥·상업·제일·흥업)가 있었고 지방은행으로는 1959년에 순수 민간 조직으로 설립된 서울은행이 있다. 한국은행도 전쟁이 터지기 2주 전 설립됐다.
휴전 후 정부는 경제재건과 물가안정을 목표로 정책을 꾸려나갔다. 이를 위해 산업·농업은행을 설립했다. 산은은 전후 복구 단계를 거쳐 경제개발계획 실시가 본격화되기 시작한 60년대에 와서 역할이 커졌다. 농업은행은 농업금융을 전담했다. 일반은행 민영화도 추진됐다.
대한증권거래소가 등장하면서 증권거래도 함께 시작됐다. 증권사와 보험회사도 다수 신설됐다. 60년대에는 본격적인 은행제도 정비가 이뤄졌다.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함께 농협·중소기업·국민·외환·주택 등 특수은행이 생겼다. 지방은행도 7개(대구·부산·충청·광주·제주·인천·전북)로 늘었다.
◇저축률 매우 낮아…해외원조 의존
금융회사들이 많았지만 저축률은 매우 낮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전쟁으로 산업시설이 파괴됐고 생산 활동이 급격히 위축됐기 때문이다. 국가기록원에 따르면 무너진 주택이나 산업시설 등을 복구하려면 투자가 필요했는데 국내 저축으로는 재원을 조달하기가 부족했다. 이 때 미국도움을 많이 받았다. 휴전 직후인 1953년에 총 투자액에서 원조가 차지하는 비율은 41%였다. 이 비율은 계속 증가해 60년에 와서는 78%까지 올랐다. 이런 이유로 50년대를 ‘원조경제 시대’로 구분하기도 한다.
◇금리현실화 조치 후폭풍…예금이 대출 앞지른 ‘역금리’ 나기도
지금은 기준금리가 0%대인 초저금리 시대에 살고 있지만 6.25 동란 이후 정부는 경제발전을 위한 재원조달 명목으로 금리현실화 조치를 단행했다. ‘통계로 본 광복 70년 한국사회의 변화’에 따르면 예금은행 최고 예금금리는 금리현실화 조치가 시행된 1965년부터 1967년에 26.4%였다. 예금은행 최고 대출 금리는 1966년부터 1967년 사이에 26.0%였다.
금리현실화는 금융기관 예금 최고이자율을 연 30%(월2.5%), 대출 최고이자율을 연 26%로 올리는 걸 골자로 했다. 이러한 조치로 예금 금리는 1964년 15%에서 1965년 26.4%로, 대출 금리는 1964년 16%에서 1965년 23%, 1966년에는 26%로 올랐다. 1965년부터 1967년에는 예금 금리가 대출 금리보다 높은 ‘역 금리’ 체제가 형성되기도 했다.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