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커버리펀드 피해자-윤종원 ‘담판’ 성과 없었다…공은 이사회로

디스커버리펀드 피해자-윤종원 ‘담판’ 성과 없었다…공은 이사회로

기사승인 2020-06-08 18:45:03 업데이트 2020-06-08 19:59:31

[쿠키뉴스] 송금종 기자 = 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 환매중단 사태 피해자 모임과 윤종원 기업은행장 간 만남이 이뤄졌지만  성과는 없었다. 피해자 측이 요구한 이사회 참관과 발언 기회도 없던 일이 됐다. 

‘기업은행 디스커버리펀드 사기피해대책위원회’는 8일 오후 서울 을지로 IBK파이낸스타워에서 윤종원 행장과 간담회를 가졌다. 

대책위와 윤 행장이 처음 독대하는 만큼 사태 해결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결과는 달랐다. 

대책위에 따르면 현재 금융감독원 조사가 진행 중인 관계로 기업은행 자체 조사는 중단됐다. 금감원 조사 결과는 4주 후에 나올 예정이다. 

또한 은행 측이 금감원 분쟁조정위원회(분조위)나 법적 소송으로 사태를 해결하자며 사실상 자율배상을 거부했다는 게 대책위 주장이다. 

오는 11일 예정된 이사회 참관과 발언기회 또한 이사회 반발로 무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사회 안건으로 이번 사태가 상정될지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대책위는 간담회 후 요구에 불응한 은행 측에 유감을 표했다. 

대책위 기획팀장은 “(행장과의 간담회는) 대책위 피해자들 요구와 기대 수준이 기업은행이 가지는 공식 입장과 전혀 다르다는 걸 확인한 자리”였다며 “금감원 조사가 진행 중이어서 기업은행은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답변만 들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사회 안건이 뭔지, 참관 발언 기회를 달라고 했는데도 행장은 ‘그럴 의지가 있어도 이사들이 거부해서 참관 불가능하다’고 한 것에 유감스럽다”고 덧붙였다. 

최창석 대책위원장은 “은행이 책임을 회피하지 않고 최선 다하고 필요하다면 만나서 협의하겠다고 한 부분은 환영 한다”면서도 “사실 확인이 1개월 늦어지는 것과 모든 해결 책임을 이사회에 떠넘기는 건 유감”이라고 말했다. 

최 위원장은 그러면서 “앞으로도 피해자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가지 않을 경우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서 원하는 부분을 쟁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금융연대 신장식 변호사는 “자율조정이 안 될 경우 분조위나 민사소송으로 밖에는 해결이 안 된다”라며 “이러면 피해보상이 더 지연돼 기업부도 등 연쇄적인 피해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법대로 하자는 건 피해자들에게 시간 싸움에서 이길 수 있느냐고 묻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지적했다.

한편 사태를 해결할 공은 이사회로 넘겨졌다. 대책위는 이사회 안건에 이번 사태가 안건으로 상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은행 측은 이사회 안건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대책위는 이사회 날짜에 맞춰 5차 집회를 열고 사태해결 목소리를 낼 계획이다. 

song@kukinews.com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
송금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