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송금종 기자 = 올해로 창립 44주년을 맞은 신용보증기금은 1일 비대면 화상회의를 열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신보가 나아갈 방향을 공유했다. 임직원 반부패와 청렴의지도 공고히 했다.
신보는 대기업 위주 급속한 경제성장이 이뤄지던 70년대 초, 정부지원 사각지대에 있던 중소기업 지원을 위해 지난 1976년 6월 1일 출범했다.
신보는 담보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에 자금을 공급해 기업성장 디딤돌 역할을 했고 IMF 외환위기와 글로벌 금융위기 등 경제위기 때마다 구원투수로서 경제안전판 역할을 충실히 해냈다.
올해는 코로나19 발생 초기부터 ‘코로나19피해 중소기업 특례보증’ 등 다양한 위기 대응 프로그램을 가동했다.
신보는 일시적 자금난에 빠진 기업들에게 충분한 유동성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보증규모를 당초 계획 대비 25조원 늘릴 예정이다.
신보는 이날 코로나19 사태로 위기에 처한 우리 기업이 재도약할 수 있도록 임직원 모두가 특별한 사명감을 갖고 역량을 집중하겠다는 결의를 다졌다.
또한 디지털 전환 시대에 맞춰 전자약정, 모바일 앱 등 비대면 서비스를 발전시키고 상거래 신용지수 등 기업데이터를 민간에 제공해 혁신금융 선도기관 입지를 다질 계획이다.
아울러 사회적 가치 확산에 앞장서고 고객 신뢰 강화로 기관 지속가능성을 높여나가기로 했다.
윤대희 신보 이사장은 “위기극복 DNA를 가진 신용보증기금이 한국경제 든든한 버팀목이 될 수 있도록 기업을 살리는 데 혼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보는 행사 후 코로나19와 싸우는 의료진에게 감사와 존경을 표하는 ‘덕분에 챌린지’ 퍼포먼스에 동참했다.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