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송금종 기자 = 정부가 100조원 규모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금융회사 자본적정성과 유동성 규제를 한시적으로 완화한다.
금융위원회는 17일 손병두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 100조원+@’ 준비·집행상황을 점검했다.
손 부위원장은 모두 발언에서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 등에 참여하는 금융기관들의 자금 공급이 위축되지 않도록 자본 적정성, 유동성 규제 등을 한시적으로 완화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관계기관과 협의해 금융 공공기관 평가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금융위는 이 일환으로 보증부 대출 원금상환 유예기준이 보증기관별로 달라 발생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보증기관 상환유예 기준을 개선했다.
이달 말 시행을 앞둔 취약 개인채무자 재기지원 강화방안이 현장에서 혼선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책 집행과정을 면밀히 살필 예정이다.
금융위는 코로나19 대응으로 인해 증가한 현장직원 초과근무 수당이 온전히 지급될 수 있도록 평가 시 총인건비 상승분을 조정할 계획이다.
또한 정책 이행노력 정도를 평가할 비(非)계량 지표를 신설하고 수익성·건전성 지표를 삭제하는 등 금융 공공기관 경영평가지침도 개정한다
이밖에 코로나19 금융지원 특별 상담센터를 운영해 접수된 애로사항을 조속히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한편 정부 코로나19 금융지원 실적은 지난 13일 기준 48만8000건, 금액은 40조9000억 원이다. 신규대출·보증 지원이 35만2000건(19조6000억 원) 실행됐다. 기존 대출·만기연장은 12만건(19조9000억 원)이뤄졌다.
기타 이자납입유예, 수출입금융(신용장), 금리·연체료 할인 등은 1만6000건(1조4000억 원)지원됐다.
대상별로는 소상공인과 중소·중견기업에 각각 42만4000건(19조4000억 원), 6만4000건(17조1000억 원), 594건(4조5000억 원)씩 지원됐다.
업종별로는 지원 건수를 기준으로 음식점 업(11만1000건·23%), 소매업(8만2000건·17%), 도매업(5만6000건·11%) 순으로 이뤄졌다.
기관별로는 정책금융기관이 30만3000건(20조8000억 원), 은행·카드·보험사 등 민간 금융회사가 18만5000건(20조1000억 원)을 지원했다.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