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제조업 수출전망 ‘맑음’

내년도 제조업 수출전망 ‘맑음’

기사승인 2017-12-26 15:07:17 업데이트 2017-12-26 15:08:32

내년도 국내 제조업 부문 수출이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특히 IT와 기계장비 수출은 올해 대비 10%를 초과해 증가할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26일 한국은행이 전국 26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내년도 수출 전망을 조사한 결과 54.2%가 올해 대비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28.1%는 올해와 유사한 수준을, 나머지는 수출 감소를 예상했다.

수출 증가를 전망한 업체는 신(新)시장 개척 노력(23.8%)과 품질경쟁력 향상(18.9%), 수출대상국 경기 개선(18.4%) 등을 주로 언급했다. 수출 증가폭은 5~10%로 예상한 업체 비중이 22.3%로 가장 높았다. 10%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한 업체도 15%에 달했다.

업종별로는 ▲IT(66.7%) ▲석유화학·정제(64.5%) ▲기계장비(62.1%) 순으로 수출이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IT·기계장비 수출이 10%를 초과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 업체 비중은 각각 28.2%, 24.1%다.

조선업 전망은 밝지 않다. 수출 감소를 예상한 비중이 57.1%로 나타났다. 자동차 수출 증가를 예상한 업체 비중은 39.4%다. 철강은 증가와 감소 전망이 각각 37.5%로 동일했다.

권역별로는 전 권역에서 내년 중 수출 증가를 예상한 업체 비중이 감소 예상 비중 대비 높았다. 특히 IT비중이 높은 수도권에서 증가 예상 업체 비중이 72.9%로 가장 높았다.

충청권(56.5%)과 호남권(52.5%)은 일부 주력산업 업황 호조로 수출 증가 예상 업체 비중이 각각 절반을 상회했다. 대경(대구·경북)권은 기계장비 등 증가 전망과 자동차 부품, 철강 등 감소전망이 엇갈리면서 증가 예상 업체 비중(40.4%)이 감소 비중(32.7%)을 소폭 상회했다.

동남권은 조선업 수출 부진이 예상되면서 감소(18%) 또는 올해와 유사(40%)할 것이라는 비중이 높았다.

수출 유망지역으로는 중국(22.5%), 미국(17.9%), 동남아시아(16.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동남아시아와 EU, 인도를 응답한 업체 비중이 올해 대비 소폭 상승해 수출 지역 다변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수출 감소를 전망한 업체는 글로벌 경쟁력 심화(22.7%)·가격경쟁력 악화(21.1%)·수출 대상국 경기 부진(12.5%) 등을 주된 요인으로 꼽았다. 원화가치 상승(10.2%), 보호무역주의 강화(8.6%) 등을 응답하는 업체도 있었다.

제조업 수출 여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세계수요’는 긍정적(48.5%)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하지만 ‘글로벌 경쟁’과 ‘보호 무역주의’는 50% 이상이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평했다.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이 가져오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응답률이 51.9%로 나타났다.

업체들은 수출 확대를 위한 과제로 연구개발 투자확대, 신제품 개발 등을 통한 품질경쟁력 강화, 신(新)시장 개척, 가격 경쟁력 확보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다.

이밖에 기술개발 지원과 세재혜택 강화, 보호무역기조 완화를 위한 통상교섭 강화 등 정부 역할이 중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
송금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