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노량진 수산시장 존립을 놓고 수협과 상인들이 암투를 벌이고 있다. 수협중앙회는 시장을 헐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상인들은 전통시장을 지켜야 한다며 맞서고 있다. 이들 사이에 서울시가 개입해 조정을 시도하고 있지만 간극은 좁혀지지 않고 있다.
정인화 국민의당 의원은 26일 농해수위 국정감사에서 현대화 사업 이후 중앙회와 미 입주 상인 간 갈등이 심화된 노량진 수산시장을 문제로 제기했다. 노량진 수산시장은 지난 2007년 사업에 착수해 2015년 10월 완공, 지금의 모습을 갖췄다.
정 의원은 “수산시장 돌아가는 모양새를 보면 이게 생산 어업인과 소비자를 위한 시설인지 판매 상인을 위한 시설인지 2년 넘게 혼란이 지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에 따르면 현대화 사업에 반발해 완공된 신축 건물로 이전하지 않은 소매상인이 260명이다. 상인들은 점포가 좁고 임대료가 비싸다는 이유로 입주를 거부해 왔다. 이와 관련해 수협은 상인들과 몇 차례 협의를 시도했지만 모두 파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증인으로 출석한 김임권 수협중앙회장은 “대표성을 가지고 협상할 사람이 정해지면 파격적인 조건을 제시하고서라도 협의를 하고 싶은데 대상이 없다”고 호소했다.
현재 구 시장을 대표하는 단체는 3개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회장은 구 시장 상인들이 잔류하는 이유에 대해 “초반에 임대료가 비싸다고 문제를 제기하다가 나중에는 자리가 협소하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현재는 구 시장을 지켜야 한다는 것과 연관돼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전통시장이라는 이름으로 그 자리에 있겠다는 건 절대 수용할 수 없다. 구 시장은 헐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정 의원은 “이런 사태가 지속되면 결국 피해보는 건 소비자들과 어민들이다. 사태가 조속히 마무리 돼야한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사태를 해결할 계획에 대해 묻자 김 회장은 “서울시가 조정하고 있어서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구 시장 철거 후 계획에 대해서도 ‘서울시와 논의 하겠다’고 답했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